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연구계획
연구계획
2022년 기본연구사업
좌, 우로 이동 가능합니다.
번호 | 연구과제명 |
---|---|
1 |
노동시장 탐색 마찰과 인적자본축적 동학
|
2 |
고소득 전문직 일자리 배분의 공정성 연구 - 법전원 및 의전원 졸업자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
3 |
생애 여성 노동시장 동학 연구
|
4 |
대규모기업집단 지정의 영향에 대한 벤포드 분석
|
5 |
기술, 시장지배력 변화가 격차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
6 |
청소년기의 환경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7 |
돌봄 서비스업 외국인노동시장 연구
|
8 |
성장잠재력과 고용변수의 전망
|
9 |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애주기별 건강 격차에 관한 연구
|
10 |
공공기관 근로조건의 법적 규율
|
11 |
취업형태 다변화와 근로시간ㆍ휴식 및 계약변경ㆍ해고 규율
|
12 |
산업안전보건 수준향상 방안 연구: 노사관계차원의 접근
|
13 |
디지털 목소리(Digital Voice)와 노사관계의 미래
|
14 |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노사관계 혁신방안 연구
|
15 |
장애인의 지속가능한 노동을 위한 정책 과제(Ⅰ)
|
16 |
성별 근로시간 격차와 임금 격차
|
17 |
일의 가치 변화와 고용정책의 미래
|
2022년 일반사업(연구 관련)
좌, 우로 이동 가능합니다.
번호 | 연구과제명 |
---|---|
1 |
저임금 개선방안 연구사업
|
2 |
고용노사관계 혁신리더십 스쿨 운영
|
3 |
소상공인·자영업 지원 고용·사회정책 연구
|
4 |
중소기업 현장(일터)혁신 촉진 연구 및 지원사업(생산성 향상)
|
5 |
장시간노동 해소와 일·생활 균형 연구
|
6 |
제조업 인적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
7 |
동남아시아 국가의 노동과 고용연구
|
8 |
코로나 고용 위기와 고용정책의 혁신
|
9 |
비대면(언택트, Untact)시대의 출현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
|
10 |
노동과 출산에 관한 통합적 연구
|
11 |
지속가능한 미래 전환을 위한 청년일자리 창출 및 개선방안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