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연구계획

2024년 기본연구사업

좌, 우로 이동 가능합니다.

번호, 연구과제명
번호 연구과제명
1

집적경제와 지역고용

  • 직접경제의 지리적 분포와 추세 및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를 살펴보고 집적경제의 정도와 유형에 따라 지역고용 성장이 차별적인지 실증분석하여 고용친화적 지역정책에 대한 시사점 도출
2

중국으로부터의 제조업 상품 수입증가와 청년층 혼인 및 출산

  • 중국으로부터의 제조업 수입증로 발생한 경제적 충격이 청년층 혼인, 출산, 이혼 등 인구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으로 정책논의 기초자료 제시
3

소득대체율 증가가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분석

  • 남성 육아휴직 소득대체율 제고가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분석
  • 해당 제도가 부모의 공평한 육아휴직 참여 촉진을 위한 정책 논의 자료 제공
4

AI 모형을 이용한 노동시장 미시적 기반 이해

  • 정책 도입, 기존 정책 수정 및 폐기, 노동시장 주요 환경 변화가 거시경제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 활용
5

근로시간 통계 국제비교로 본 정책 방향

  • 우리나라 장시간 근로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해외 주요국과 개인수준 원자료를 이용한 비교분석으로 함의 도출
  • 근로시간의 다양한 차원이 실질적으로 조사관행에 접목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 제시
6

기술 혁신과 노동 시장 변화

  • 기술 혁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노동시장의 성과에 대해 다각도 분석하여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 활용
7

인구변동과 노동이민 정책

  • OECD국가의 이민자들의 인구구조, 노동시장구조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해 이민자유입의 효과 분석을 통해 시사점 도출
  • 주요국들의 이민자 유입정책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시사점 도출
  • 한국의 인구변동에 따른 노동공급 영향 및 이를 토대로 한 이민자 유입방향 제시
8

경기변동과 고용

  • 우리나라 노동시장 변수의 시계열적 특성 분석 및 거시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도출
  • 경제위기를 포함한 경기변동 시 노동시장 상황 판단 및 대응 정책 수립
  • 제도적 변화, 인구구조 및 산업구조 변화, 경기순환에 의한 변동성 등이 노동시장 집계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고용보험 예산편성 및 효과적인 경기대응 정책 입안에 활용
9

직업과 생애주기별 건강 격차

  • 직업 특성별 건강 격차 관계를 생애주기별로 살펴봄으로써 국민건강 개선과 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에 함의 제공
  • 인구학적 특성별 분석을 통해 이질성을 확인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정책 개선 방향 설정에 객관적 근거 제공
  • 직업 특성별 건강 격차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실증분석 수행으로 기초자료 제공
10

취업형태 다변화와 최적화된 규율분업의 모색

  • 단기적/해석론적 측면에서 현행 노동관계법과 기타 유관 인접 법영역의 규범 간 중첩, 즉 경합 또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제안함으로 선결적·절차적 법적 문제 해결 기대
  • 중·장기적/입법정책적 측면에서 노동정책·경제정책·사회정책 간 혼선을 조율하여 최적화된 규율분업을 통해 정책의 효과 총량을 증진하는데 기여
11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

  • 세대간 사회이동의 다양한 요인별로 각 요인들과 세대간 사회이동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요인별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 계층구조 고착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12

퇴직급여제도 현황과 인식: 수준과 격차를 중심으로

  • 노후보장 관점에서 가장 핵심적인 보장수준 및 격차와 관련한 현황과 인식을 바탕으로 정책 방향 제시
13

휴가의 경제적 효용 분석과 휴가 활성화 방안 연구

  • 근로자의 휴가활용 실태와 노동시장 지위에 따른 휴가 활용의 격차 및 휴가의 효용에 관해 분석함으로써 노동자의 보편적 휴식권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
14

청소년 노동인권 교육 및 법제 발전 방안 연구

  • 노동인권교육을 법제화하여 청소년노동의 부당대우를 막기 위한 사전 예방책 제안
  • 청소년이 노동의 주체가 됨에 동시에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현행 법제의 보완 제시
15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과 고용 패러다임 변화

  • 스타트업 성장이 일자리와 어떤 관계 속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고용 활성화를 위한 객관적 정책 방향 제시
16

성별 임금 격차와 기업의 역할

  • 성별 임금격차에서 기업의 영향에 주목하여 성별 근로공시제 관련 정책 논의 기초자료 제시
17

사회적 소수자의 고용과 노동 (Ⅰ) : 성소수자

  • 성소수자의 고용·노동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이 구직·노동과정에서 경험하는 차별적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이들에게 필요한 정책 대안의 기초 자료 활용
18

근로장려금 도입이 청년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 30세 미만 단독가구를 중심으로

  • 2018년 근로장려세제 개정을 통해 단독가구 연령 제한이 없어지면서 수급대상이 된 30세 미만 단독가구의 노동공급 정책 효과 도출

2024년 일반사업(연구 관련)

좌, 우로 이동 가능합니다.

번호, 연구과제명
번호 연구과제명
1

동남아시아 국가의 노동과 고용연구

  • 동남아시아 국가의 노동과 고용연구를 통해 동남아시아에 투자한 한국기업들에게 동남아시아 각국의 노동과 고용관련 최근 상황, 제도, 제도의 운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한국투자기업들의 현지 경영안정을 지원함
  •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고용과 노동관련 제도 및 인프라의 구축과 개선에 직접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노동외교의 일익을 담당함
2

지속가능한 미래 전환을 위한 청년일자리 창출 및 개선방안 연구

  • 청년층 문제를 둘러싼 각종 영향요인의 변화에도 ‘지속가능’한 ‘청년일자리 창출 및 개선방안’을 선제적으로 모색하여, 청년층 일자리의 자연스럽고 유연한 ‘미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기여
  • 청년일자리의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시장정책 유형별 평가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한편, 일자리 미래 전환에 필수적인 대안적 정책틀과 내용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 이슈 및 과제 발굴
3

탈탄소사회와 노동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산업전환 정책에 따른 노동시장 영향과 대응을 산업ㆍ업종별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노동 전환 지원을 위한 사회안전망 지원방안 모색
  •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해 전환을 추진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모색
4

고령자 고용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연구

  • 고령자 및 노동시장의 현황 및 변화 추이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에 기초하여 초고령사회에서의 고령자 노동시장제도가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 제시
  • 고령 노동시장 및 정책 효과와 관련한 다양한 실증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초고령사회에서의 고령자 대상 노동시장 정책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개선방안 도출
5

AI 시대의 노동과정 변화와 고용

  • AI가 산업구조, 노동과정, 일자리의 증감, 고용형태 등에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에서 변화 내용과 규모를 측정하고, 기존 제도와의 갈등이 생기는 부분을 확인하여 새로운 기술에 조응하는 숙련과 역량을 쌓을 수 있는 방안 모색
6

생산인구 감소 시대에 대응하는 노동시장 연구

  • 생산연령인구 중 비활성 인구 집단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 지속 참여, 생산성 제고 방안을 개인 차원과 기업 차원에서 연구하고 이를 통해 개별 집단 특성, 정책 대상에 맞춘 세밀한 정책 대안을 도출
  • 인구구조 대응 정책의 중요 목표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고려하여 한 지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다른 지표를 악화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설계될 수 있도록 정합성을 고려한 제안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