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자료

한국노동연구원의 최신 발간물을 열람하시고 구독 신청하세요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모델개발 및 접근방안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모델개발 및 접근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이현주)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3
제3절 연구 방법 4
1. 문헌연구 4
2. 면접조사 5

제2장 사회적응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현주) 7
제1절 사회적응의 이론적 배경 7
1. 사회적응의 개념 7
2. 사회재활과 사회적응 8
3. 사회적응의 범위 10
4. 사회적응프로그램 14
제2절 산재근로자와 재활 17
1. 산재근로자의 특성 17
2. 산재근로자의 재활 18
제3절 산재보험 재활사업 23
1. 개 요 23
2.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목적 24
3.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내용 26
4. 사회적응프로그램 위탁교육 실시 배경 30

제3장 사회적응프로그램 체계 (이현주) 33
제1절 프로그램 구조 33
1. 운영기관 33
2. 교육기간 38
3. 인당교육비 39
4. 프로그램 적용대상 40
제2절 프로그램 과정 42
1. 프로그램 목표 42
2. 프로그램 내용 44
제3절 프로그램 결과 47

제4장 사회적응프로그램 실태 (이현주) 49
제1절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9
1. 인구학적 특성 49
2. 신체적 특성 50
3. 경제적 특성 51
4. 사회심리적 특성 53
5. 재활서비스 55
제2절 참여 실태 57
1. 프로그램 구조 57
2. 프로그램 과정 58
3. 프로그램 결과 68
제3절 프로그램 만족도 73
1. 개인특성과 프로그램 만족도 74
2. 프로그램 구조와 만족도 74
3. 프로그램 과정과 만족도 76
4. 프로그램 결과와 만족도 79
5.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0
제4절 운영기관별 성과 82

제5장 독일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최윤영) 85
제1절 서 론 85
1. 독일 산재보험 제도 85
제2절 직업재활을 통한 사회적응 86
1. 분석모형의 정립 88
2. 산재근로자의 재활단계 90
3. 직업재활의 경로 91
4. 산재근로자의 직업재활 시설 98
제3절 사회적응 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106
1. 직업후원장 106
2. 재활사정평가(Reha-Assessment) 109
3. 시설 및 서비스 프로그램 115
제4절 사회적응프로그램 130
1.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30
2. 후원책 146
3. 재활서비스 공급자와 산재보험조합과의 재정관계 153
제5절 시사점 155

제6장 일본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이홍무) 157
제1절 서 론 157
제2절 노재보험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의 특성 159
1. 산재근로자에 대한 2차원 보장 159
2. 보험급부에 해당하는 사회적응프로그램 161
3. 프로그램 적용시기 161
4. 팀에 의한 접근 163
5. 개별적인 사회복귀 목표 설정 164
6. 의료재활 및 직업재활의 연계 166
7. 영역별 전문가의 지원체계 168
제3절 노재보험 급여에서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69
1. 생활적응프로그램(山口勞災病院) 170
2. 직업적응프로그램(중부노재병원 中部勞災病院) 171
3. 심리재활프로그램(關東勞災病院) 173
4. 재활상담(의료리허빌리테이션센터) 174
5. 리허빌리테이션 의료시설 177
6. 지불보수체계 181
제4절 노동복지사업에 의한 사회적응프로그램 183
1. 노재리허빌리테이션 작업소 183
2. 사회복귀지도원 184
3. 노재연금복지협회 185
제5절 후생노동성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88
1. 두경부외상증후근 등에 대한 직능회복원호 188
2. 탄광재해에 의한 일산화탄소중독증의 직능회복훈련 192
제6절 일반장애인복지정책에서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96
1. 사회적응프로그램 시설유형 197
2. 사회적응프로그램 내용 200
3. 공공 직업훈련 203
4. 사업주 위탁 직장적응훈련 204
5. 잡코치(직장적응원조자)에 의한 지원 205
제7절 시사점 208

제7장 미국 워싱턴주 산재보험의 사회적응프로그램 (김통원) 209
제1절 서 론 209
제2절 산재보험의 재활서비스 체계 211
1. 재활서비스 체계 211
2. 공급자(Provider) 체계 212
3. 감독 및 지불보수 체계 214
제3절 사회적응프로그램 유형 215
1. 직업보건 서비스(Occupational Health Service : OHS) 215
2. 직업재활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225
3. 직업훈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 Program) 233
4. 직장복귀(Return to Work : RTW) 244
제4절 시사점 258

제8장 사회적응프로그램의 범위 설정 (이현주?최경숙?이달엽) 262
제1절 범위설정을 위한 원칙 262
1. 대상자 요구 중심의 프로그램 방향 설정 262
2. 산재보험 재활사업 목표에 부합한 프로그램 264
3. 사회적응프로그램 범위설정의 명확한 설정 264
제2절 심리재활프로그램의 방향 267
1. 의의 267
2. 산업재해에서의 정신과적인 문제 269
3. 산재보험과 정신과적인 문제 276
4.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문제 278
5. 산재보험에서 정신과의 개입 279
6. 산재근로자 재활에서의 정신과적 개입 및 제언 284
제3절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방향 286
1. 직업적응의 개념 286
2. 직업적응훈련 289
3. 직업재활의 성공요인 290
4. 산재근로자의 직업훈련 292
5.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99
6.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주는 요소 300
7. 산재근로자의 직업적응 과정 301

제9장 산재근로자 직업적응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현주?이달엽) 317
제1절 직업적응프로그램 모형 317
1. 장애별 직업적 특성과 직업적 기능장애의 분류 317
2. 직업적응 훈련프로그램 개발 전제조건 325
3. 대상자 선발준거 328
4. 훈련과정 329
5. 교과과정과 훈련기간 333
6. 교수방법 341
7. 직업준비 342
8.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 평가 350
제2절 모형개발시 고려사항 352
1. 측정 가능한 프로그램 목표 설정 352
2. 지역사회자원의 전문성 활용 353
3. 직업적응프로그램 적용대상 362
4. 직업적응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366
5. 비용지급 366
6. 대상자 지원 373
7. 프로그램 사업평가 및 고용연계 강화 방안 374
제3절 접근방안 모색 375
1. 의의 375
2. 근로복지공단과 위탁운영기관의 협력체계 376
제4절 결론 379

참고문헌 383

부 록 39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