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자료

한국노동연구원의 최신 발간물을 열람하시고 구독 신청하세요

전체 보고서

중산층 형성과 재생산에 관한 연구

중산층 형성과 재생산에 관한 연구

목차

요 약 i

제1장 머리말 (윤자영) 1
제1절 문제 의식 1
제2절 중산층의 개념과 정의 4
1. 중산층 개념의 이론적 배경과 정의 5
2. 본 연구의 중산층 개념과 정의 13
제3절 연구의 구성 14

제2장 중산층 규모와 추이 (윤자영) 22
제1절 문제제기 22
제2절 연구 자료와 방법 24
제3절 객관적 기준에 의한 중산층 규모와 추이 27
제4절 객관적 기준 중산층의 중산층 의식 34
제5절 결 론 41

제3장 중산층의 쇠퇴와 양극화 (윤자영) 44
제1절 문제제기 44
제2절 연구 방법 46
1. 상대분포 분석 방법 46
2. 양극화 지수 47
제3절 연구 결과 50
1. 상대분포 분석 결과 50
2. 양극화 지수 분석 결과 56
제4절 결 론 63

제4장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지위 재생산 (윤정향) 64
제1절 문제제기 64
1. 연구 필요성 64
2.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65
제2절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지위 재생산에 관한 이론적 검토 67
1. 중산층의 정의 67
2.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지위 재생산 논의 68
3. 분석틀 73
제3절 중산층의 형성과 재생산 실태 74
1. 면접참여자의 특성 74
2. 그들은 어떻게 중산층이 되었는가? 76
3. 그들은 어떻게 중산층으로 생존하고 있는가? 90
4. 그들은 어떻게 자녀를 키우고 있는가? 96
제4절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지위 재생산 메커니즘: 불안정성과 모순성 105
1. 확장되거나 구조화된 기회의 장 105
2. 중산층의 내면화된 생활양식:구별과 경계 110
3. 안정된 노동시장 지위 115
4. 중산층 재생산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계층이동과 계층단절 119
제5절 결 론 124

제5장 중산층 이탈과 진입 (윤자영) 127
제1절 문제제기 및 기존 연구 12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0
1. 중산층의 계층 이동 130
2. APCD(Age-Period-Cohort Detrended) 모형 131
3. 중산층의 계층 이동 가능성 지수 134
제3절 연구 결과 137
1. 중산층의 계층 이동 137
2. 중산층 진입 확률의 코호트별 차이 148
3. 중산층의 계층 이동 가능성 지수 154
제4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56

제6장 중산층 교육과 세대간 소득이동성 (최민식) 159
제1절 문제 의식 159
제2절 세대간 소득이동성의 분해와 교육의 역할 163
1. 세대간 소득이동성 및 교육의 역할에 대한 논의 163
2. 소득이동성 분해를 위한 실증분석 방법 165
제3절 한국 중산층의 교육비 지출 특성 분석 167
1. 실증분석을 위한 중산층 정의 167
2. 분석 자료 168
3. 중산층의 교육투자 행태 실증분석 결과 169
4. 소득이동성 변화에 미치는 교육의 영향력 분석 184
5.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90

제7장 중산층과 자산 (윤자영) 193
제1절 문제제기 193
제2절 연구 자료와 방법 196
제3절 연구 결과 198
1. 자산 구성 198
2. 중산층의 자산 빈곤 208
3. 소득과 자산의 관계 216
4. 자산 형성 222
제4절 결 론 232

제8장 자산기반 복지와 중산층 위기 (김수현·임재만) 236
제1절 서 론 236
제2절 한국적 자산기반 복지시스템의 형성 238
1. 자가소유 지향과 자산기반 복지 238
2. 한국의 자가소유 확대와 자산기반 복지시스템 241
제3절 자산기반 복지시스템의 위기와 중산층 248
1. 중산층과 자산 248
2. 자산기반 복지시스템의 위기 징후 251
3. 2014.9.1 부동산대책의 효과와 한계 257
4. 저출산?고령화 시대 일본 주택시장의 변화 258
제4절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61

제9장 소득재분배 정책과 중산층 (윤자영) 266
제1절 문제제기 266
제2절 연구 방법 268
제3절 연구 결과 269
1. 소득재분배 이전과 이후의 중산층 규모 변화 269
2. 소득재분배 정책과 분위별 소득점유율 변화 270
3. 소득재분배 정책의 중산층 규모 효과 272
제4절 결 론 282

제10장 중산층의 복지태도 (김영순·여유진) 284
제1절 서 론 284
제2절 기존 연구 및 연구 방법 285
1. 기존 연구와 문제제기 285
2. 연구방법 291
제3절 분석 결과 298
1. 중산층의 복지태도 298
2. 중산층 복지태도의 일관성 306
3. 복지태도 결정요인으로서 계층 310
4. 복지태도 결정요인으로서 세대와 연령 322
제4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329

참고문헌 335

부 록 351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