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알림광장

연구원의 최신 소식과 채용/입찰 정보, 토론회 및 세미나 정보입니다

보도자료

주5일 근무제 도입시 임금은 2.8% 상승

  • 분류 행사
  • 주최 황수경
  • 보도일자2002.03.22
  • 조회수2665

■ 노동연구원은 최근 노사정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안대로 주5일제를 도입하고
   휴일·휴가제도를 조정하는 경우 임금상승은 2.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 근로자의 특성별로는 여성(2.99%)이 남성(2.78%)보다 높았고, 사무직(1.91%)보다는
    생산직(4.66%)의 임금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 기업규모별로는 5∼9인 3.4%, 10∼299인 2.9%, 300∼999인 2.4%, 1000인이상 2.0%로
    중소기업의 임금상승 효과가 컸다.
      ※ 이는 장기근속자가 많은 대기업일수록 연차휴가일수 감소에 따른 임금감소효과가
          크기 때문임(근속기간 : 5∼9인 4.0년, 10∼299인 5.2년, 300∼999인 8.2년, 1,000인
          이상 8.8년)
  - 주요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3.4%, 금융·보험업이 1.2%의 임금상승률을 보였다.
      ※ 주로 생산직이 많고, 근속기간이 짧으며, 통상임금 비중이 큰 업종일수록 임금상승
          률이 높게 나타남

  ■ 노사정위원회의 대안을 노사 양측의 안과 비교하여 보면
  - 경영계안에 따라 제도개선을 하면 2.25%, 노동계안에 따르는 경우 6.4%의 임금상승이
    예상되어
  - 노사정위원회의 대안이 노사양측의 안에 비하여 중립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주5일 근무제가 우선적으로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기업과
     금융·보험업의 추가적인 임금비용 부담은 거의 없고
  -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비용 상승이 예상되는 중소·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정부의 지원대
    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동연구원의 연구결과는 5,400개 사업체의 근로자 50여만명의 개인별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5일제 도입의 제도개선의 미시적인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써
  - 그간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의 효과만을 분석해온 기존의 선행연구에
     비해 휴일·휴가제도 조정 등 근로시간 제도개선의 총체적 효과를 고려하고 있어 산업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현실적으로 예측한 연구로 평가된다.

File
  • pdf 첨부파일 단축효과 요약.pdf (다운로드 1180회) 다운로드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