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김승택 사진
김승택 선임연구위원

부서 고용정책연구본부

담당업무 선임연구위원

전공분야 고용노동정책, 고용서비스

팩스번호 044-287-6797

주요 학력

  • · 1991. 09 ∼ 1997. 10 Brown University 경제학 박사
    · 1988. 09 ∼ 1990. 05 Brown University 경제학 석사
    · 1987. 01 ∼ 1988. 05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정치경제학 석사
    · 1982. 03 ∼ 1986. 02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주요 경력

  • ·2024. 2~ 현재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장
    ·2021. 3 ~ 2023.2      한국노동연구원 부원장(2022. 7~2023. 2, 원장직무대행 겸임)
    ·2021. 12 ~ 현재     제4기 서울특별시 일자리위원회 위원
    ·2021. 5 ~ 2022.4      탄소중립위원회 공정전환분과 위원
    ·2021. 4 ~ 현재      기획재정부 재정운용전략위원회 위원
    ·2021. 2 ~ 2024. 1      한국노동경제학회 부회장
    ·2019. 8 ~ 2021. 2   노동정책연구 편집위원장
    ·2019. 7 ~ 2020. 7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사회복지ㆍ소득이전분과 위원
    ·2018. 1 ~ 2024. 1      국가통계위원회 본위원회 위원
    ·2017. 12 ~ 2019 12   국토교통부 국토교통일자리협의체 위원
    ·2017. 7 ~  2023. 3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부회장
    ·2017. 6 ~ 2020.5    연세대학교 총동문회 상임이사
    ·2017. 2 ~ 2021. 1   한국노동경제학회 이사
    ·2016. 7 ~ 2018. 6   고용노동부 고용노동정책 평가위원
    ·2016. 7 ~ 2017. 6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상임이사
    ·2016. 3 ~ 2018. 2   한국노동연구원 부원장(2017.11~2018.2 원장직무대행 겸임)
    ·2015. 6 ~ 2016. 2   한국노동연구원 연구관리본부장
    ·2015. 8 ~ 2016. 8   KBS 시청자위원
    ·2015. 1 ~ 2015. 5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정책연구본부장
    ·2014. 8 ~ 현재      근로자보호 클린기업 인증제 심사위원장
    ·2014. 1 ~ 2014. 7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임금ㆍ근로시간개선특위 공익위원
    ·2013. 1 ~ 2013. 12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2012. 7 ~ 2014. 6   고용노동부 고용노동정책 평가위원
    ·2012. 6 ~ 2012. 12  한국노동연구원 연구관리본부장
    ·2011. 8 ~ 2012. 7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근로시간특례업종개선위원회 공익위원
    ·2011. 6 ~ 2012. 6   한국노동연구원 연구관리본부장(2011.6~2012.6, 원장직무대행 겸임)
    ·2011. 2 ~ 2011. 5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정책연구본부장
    ·2011. 2 ~ 2012. 12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평가위원
    ·2011. 1 ~ 2012. 1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선진화위원회 공익위원(간사)
    ·2010.11 ~ 2010. 12  국무총리실 특정평가 평가위원
    ·2009.10 ~ 2011. 4   근로자파견 우수기관 인증위원회 위원
    ·2009. 6 ~ 2010. 6   노사정위원회 근로시간임금제도개선위원회 공익위원(간사)
    ·2009. 4 ~ 2009. 9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총괄팀, 녹색일자리팀 민간위원  
    ·2009. 3 ~ 2011. 2   한국노동연구원 인적자본연구본부장
    ·2008. 9 ~ 2009. 2   한국노동연구원 사회정책연구본부장
    ·2008. 3 ~ 2009. 4   노사정위원회 비정규직대책위원회 공익위원(간사)
    ·2007.12 ~ 2008. 9   한국노동연구원 국제협력실장
    ·2007. 10 ~ 2009. 10  노동부 고용지원서비스 우수기관인증위원회 위원
    ·2007. 7 ~ 2009. 12  무역조정지원 실무위원회 위원
    ·2007. 6 ~ 2008. 4   국민연금 재정추계위원회 재정추계모형소위 위원장
    ·2007. 6 ~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07. 5 ~ 2009. 12  한미FTA 고용안정대책단 위원
    ·2007. 4 ~ 2008. 3   노사정위원회 비정규직법 후속대책위원회 위원(공익 간사)
    ·2007. 2 ~ 2007. 8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 기초과학 위원회 위원
    ·2006. 7 ~ 2010. 6   고용노동부 고용노동정책 평가위원
    ·2005. 6 ~ 2007. 5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인적자원개발 분과 간사
    ·2003. 7 ~ 2005. 12  기획예산처 중앙성과관리자문단 위원
    ·2002. 3 ~ 2003. 6   보건복지부 국민연금발전위원회 재정분석전문위원회 위원
    ·2002. 1 ~ 2003. 12  한국사회보장학회 이사
    ·2001. 5 ~ 2001. 12  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본계획 과학기술인력부문 위원
    ·2000.10 ~ 2007. 6   한국노동연구원(KLI) 연구위원
    ·1999. 6 ~ 2000. 12  인적자원개발회의 연구자문팀 위원
    ·1999. 4 ~ 1999. 8   중소기업 기술경쟁력향상 5개년 계획 전문분과위원
    ·1997.12 ~ 2000. 10  산업연구원(KIET) 수석연구원

주요 논문 및 저서

  • ■ 일자리 창출, 고용정책, 고용전략, 실업대책

    ‘디지털ㆍ저탄소화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노동전환 정책 ’, 월간 재정동향 2021 10월호 제93호. pp. 29-34.
    『디지털ㆍ저탄소 산업전환에 따른 노동이동 지원체계 구축 방안 마련』, 용역보고서, 고용노동부(책임, 共著), 2021. 10.
    『4차산업혁명 시대 고급인력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경제인문사회연구회(책임, 共著), 2020. 10.
    ‘디지털 경제의 노동시장 변화 :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정책 2020 겨울호 제82호. pp. 22-29.
    『코로나 19는 우리의 일하는 방식을 바꿀 것인가?』, 국제노동브리프 11월호(Vol. 18, No. 11), 한국노동연구원, 2020. 11.
    『4차산업혁명이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인력시장에 미치는 영향』, 용역보고서, 고용노동부(책임, 共著) 고용영향평가사업, 2018. 12.
    『청년 노동시장 및 고용정책 해외사례 심층연구 : 일본』, 노동연구원, 2018. 12.
    『전환기의 고용노동정책 방향』, 노동리뷰 3월호(제144호), 한국노동연구원, 2017. 3.
    『각국의 2015년 노동시장 전망과 주요 정책』, 국제노동브리프 2월호(Vol. 13, No. 2), 한국노동연구원, 2015. 2.
    『조선업종 일자리대책 마련 연구』, 고용노동부(共著), 2014. 12.
    『소득 3만불 시대를 위한 여성의 사회참여 방안』, 장은공익재단(共著), 2013. 12.
    『Skills Development Pathways in Asia : Employment and Skills Strategies in
    Southeast Asia intiative (ESSSA)』, LEED Working Paper Series, OECD(Chapter 23.
    Green Job Creation in Korea: Issues and Policies, Co-Author), 2012. 12.
    『2012년 고용노동정책의 방향』, 노동리뷰 1월호(제82호), 한국노동연구원, 2012. 1.
    『Green Growth : Green Industry and Green Job』,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Co-Author), 2011. 12.
    『녹색산업과 일자리 전망』, 경제인문사회연구회(共著), 2011. 12.
    『고용측면에서 바라본 기후변화협약과 녹색성장』, 노동리뷰 4월호(제73호),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11. 4.
    『녹색성장이 일자리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기술혁신과 기후변화협약을 중심으로』, 노동연구원, 2010. 12.
    「Korea's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1998 Asian Financial Crisis and
    Adjustments i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DBI Working Paper Series No.
    214,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 2010. 5.
    『녹색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연구』, 노동연구원, 2009. 12.
    『써머타임 도입 효과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共著), 2009. 07.
    『고용과 성장』, 박영사(共著), 2008. 12.
    『녹색일자리에 대한 인력수급전망 및 이에 따른 고용정책적 과제』, 노동부(共著), 2008. 12.
    『녹색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촉진 방안』, KDI, 토론회 자료집, 2008. 12.
    『녹색일자리(Green Job)의 정의와 창출방안』, 노동리뷰 5월호(제48호), 한국노동연구원, 2008. 12.  
    『국가 고용전략 및 정책방향 연구사업』,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7. 12.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노동리뷰 4월호(제28호), 한국노동연구원, 2007. 4.
    『노동시장 관련 법제도 혁신연구』,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7. 3.
    「Prospects for Increasing Labor Market Flexibility in Korea」, in 『Korea's
    Economy 2007』,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2007. 2.
    「Is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Still the Source of Job Creation?」 in 『Beyond
    Flexibility: Roadmaps for Korean Labor Policy』, 한국노동연구원, 2007.
    『한국형 고용전략 수립』, 용역보고서, 청와대 일자리위원회(共著), 2006. 11.
    『교대근무제 개편과 교육훈련 강화 등을 통한 고용창출 및 노동생산성 제고 방안』, 용역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4. 3.
    『산업별 일자리 창출 현황분석 및 정책과제 연구』, 용역보고서, 산업자원부(共著), 2003. 11.
    『유망산업과 고용창출 전략』, 정책자문자료, 산업연구원(共著), 1998. 4.
    『실업대책과 구조조정』, 정책자문자료, 산업연구원, 1998. 4.
    『구조조정과 고용창출』, 정책자문자료, 산업연구원(共著), 1998. 3.
    『고용조정에 관련된 법제개정의 방향과 실업대책: 법제와 실업보험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KIET 정책자료, 산업연구원, 1998. 1.

    ■ 근로시간 단축, 임금 연구

    『장시간 근로 개선의 고용효과 추정』, 노동정책연구(제17권 제2호),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17. 6. pp. 115~142.
    『2015년 임금전망과 노동시장 변화의 필요성』, 노동리뷰 4월호(제121호), 한국노동연구원, 2015. 4.
    『장시간근로 개선을 통한 신규채용 확대』,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15. 3.
    『임금ㆍ근로시간제도 개선의 기반조성을 위한 연구 』, 용역보고서, 노사정위원회(共著), 2013. 12.
    『장시간근로의 개선과 근로문화의 선진화』, 노동리뷰 3월호(제72호), 한국노동연구원, 2011. 3.
    『실근로시간 단축 논의 추세와 개선방향』, 임금연구 여름호(제18권 제2호), 경총 노동경제연구원, 2010. 6. pp. 26~39.
    『주요국의 근로시간ㆍ임금제도 변화 추세 연구』, 용역보고서, 노사정위원회(共著), 2009. 12.
    『근로시간 단축의 효과분석 - 정책 평가와 사업장 혁신 사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8. 12.
    『주5일근무제의 비용과 편익』, 국회도서관보 6월호(제42권 제6호), 국회도서관, 2005. 6.
    『노동비용과 임금수준의 국제비교』, 노동리뷰 2월호(제2호), 한국노동연구원, 2005. 2.
    『한국의 임금과 노동시장연구』,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5. 1.
    『근로시간 단축의 현황과 향후 과제』, 동계학술대회, 한국노사관계학회, 2004. 12.
    『법정근로시간 단축과 노사협상의 방향』, 조정과 심판 여름호(제18호), 중앙노동위원회, 2004. 7.
    『주40시간제 도입의 노사간 쟁점과 교섭방향』, 노동법률 7월호(Vol. 13 No. 158), 중앙경제(주), 2004. 7.
    『근로시간 단축을 둘러싼 노사협상의 과제』, 매월노동동향 6월호(제35호), 한국노동연구원, 2004. 6.
    『근로시간 단축과 기업의 대응과제』, 임금연구 봄호(제12권 제1호), 경총 노동경제연구원, 2004. 3. pp. 4~24.
    『근로시간 단축과 고용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4. 3.
    『근로시간 단축을 둘러싼 노사간 쟁점』, 매월노동동향 2월호(제31호), 한국노동연구원, 2004. 2.
    『2003 근로시간 실태조사』, 용역보고서, 노동부, 2003. 11.
    『근로시간 실태조사』, 용역보고서, 노동부, 2002. 12.
    『주5일근무제 도입의 쟁점과 과제』, 2002 추계학술대회, 한국노동경제학회, 2002. 9.
    『근로시간 단축 및 휴일휴가제도 개선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 용역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1. 12.
    『근로시간 단축이 국민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1. 8.

    ■ 고용서비스

    『우리나라의 고용서비스 어디까지 왔나?』,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15. 12.
    『취약계층에 대한 민간직업소개 실태조사 및 직업소개 수수료 등 개편방안 연구』, 고용노동부(共著), 2015. 4.
    『공공ㆍ민간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고용노동부(共著), 2015. 2.
    『고용서비스 선진화와 전문인력 양성의 과제』, 국제노동브리프 10월호(Vol. 123, No. 10), 한국노동연구원, 2014. 10.
    『직업안정법 체계 전면 개편방안 연구』, 노동부(共著), 2008. 9.
    『민간고용서비스기관의 운영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연구』, 노동부, 2007. 12.
    『민간고용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합리적 육성방안』,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6. 1.
    『고용서비스의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 노동리뷰 12월호(제12호), 한국노동연구원, 2005. 2.
    『고용서비스선진화방안』,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4. 12.
    『공공·민간 직업안정기관 운영실태 및 개선과제』,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4. 3.
    『민간인력서비스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종합인력개발기관의 육성방안 연구』, 용역보고서(재정경제부),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1. 11.

    ■ 무역자유화(FTA, WTO DDA)

    『FTA 체결에 따른 자격의 국제통용성 확보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共著), 2013. 12.
    『한-EU FTA의 고용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노동부(共著), 2007. 12
    『한미 FTA 협상결과에 따른 산업별 고용효과 및 정책방향 』, 노동부(共著), 2007. 12.
    『FTA와 무역피해근로자 지원제도』, 노동리뷰 5월호(제29호), 한국노동연구원, 2007. 5.
    『The Influence of the KORUS FTA on Employment』, KOREA Policy Review May, vol.
    3, No. 5, 2007. 5.
    『FTA로 인한 무역피해근로자 지원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7. 1.
    『한미 FTA의 고용효과에 대한 기초조사』,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6. 12.
    『한ㆍ중ㆍ일 FTA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노동리뷰 5월호(제17호), 한국노동연구원, 2006. 5.
    『FTA 체결에 따른 노동시장 측면의 대응방안』, 노동리뷰 4월호(제16호), 한국노동연구원, 2006. 4.
    『무역자유화가 노동시장의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6. 1.
    『한일 FTA체결에 따른 고용정책 차원의 대응방안』,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6. 1.
    『한 · 일 자유무역협정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4. 12.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으로 인한 노동관련 서비스 시장 개방 압력에 대한 대책 및 협상전략 연구』, 용역보고서, 노동부, 2004. 12.
    『FTA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매월노동동향 12월호(제41호), 한국노동연구원, 2004. 12.
    『인력알선 및 인력공급서비스와 직업훈련서비스시장 개방에 대비한 대응방안 모색 - WTO 서비스협상과 관련하여』, 용역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共
    著), 2004. 2.

    ■ 비정규직 및 특수형태고용

    『파견근로자 사용에 대한 노동시장 수요조사』,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9. 12.
    『일자리 확대를 위한 파견허용업종의 범위 정비』, 노동법률 3월호(제190호), 중앙경제, 2007. 3.
    『파견허용업종 연구』, 용역보고서, 노동부, 2006. 12.
    『국내근로자 공급사업 실태조사 및 제도 개선방안』,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5. 12.
    『영화 · TV 스탭진의 고용실태 및 관련제도 연구』, 용역보고서, 노동부, 2005. 12.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및 직무분석』, 용역보고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共著), 2004. 12.
    『근로자파견제도의 도입효과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2. 3.

    ■ 중소기업 인력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원활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산업입지 봄호(Vol. 49), 한국산업단지공단, 2013. 3.
    『중소기업 고용서비스 강화와 고용정보 활용방안』, 중소기업연구원 세미나 자료, 2008. 10.
    『일자리 창출과 벤처 · 중소기업의 육성』, 종합물가정보 3월호(제36권 제3호), 한국물가정보, 2005. 3.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위한 인력지원방안』, 산업기술정책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3. 12. pp. 78~101.
    『중소기업 인력수급원활화를 위한 종합대책』, 용역보고서(중소기업특별위원회),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1. 12.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방안』, 용역보고서(교육인적자원부),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1. 10.

    ■ 인력수급 전망, 산업인력

    『IT전문인력 활용실태조사』, 용역보고서, 정보통신부, 2005. 3.
    『2003 IT전문인력 수급현황 분석과 전망』, 한국노동연구원 & 정보통신연구진흥원(共著), 2005. 1.
    『IT전문인력 수급차 분석 및 전망 연구』, 용역보고서, 정보통신부(共著), 2004. 4.
    『IT전문인력 수요실태조사』, 한국노동연구원 & 소프트웨어진흥원(共著), 2003. 3.
    『산업인력수급 전망 및 원활화 방안』, 용역보고서(산업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2001. 12.
    『밀라노 프로젝트 개별사업의 평가 및 조정방안』, 용역보고서(대구특별시), 산업연구원(共著), 2000. 11.
    『비즈니스서비스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21세기 준비 총서, 을유문화사 (共著), 2000. 6.
    『지식기반경제의 인력정책』, 산업연구원 21세기 준비 총서, 을유문화사(共著), 2000. 5.
    『한국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방안』, 산업연구원 21세기 준비 총서, 을유문화사(共著), 2000. 5.
    『산업기술인력수급 실태분석 및 전망과 효율화 방안』, 용역보고서(산업자원부), 산업연구원(共著), 2000. 1.
    『경영컨설팅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방안』, KIET 정책자료, 산업연구원, 1999. 12.
      “Policy Suggestions for the Knowledge-based Industry in Korea”, Background
    Paper, World Bank, 1999. 6.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략(II)』, KIET 정책자료, 산업연구원(共著), 1999. 4.
    『신산업의 발전비전 및 육성방안』, 용역보고서(산업자원부), 산업연구원(共著), 1999. 1.
    『지식기반산업의 발전방안』, KIET정책자료, 산업연구원(共著), 1998. 12.
    『신산업의 발전비전 및 육성방안 - 지식기반산업으로의 구조개편 -』, KIET정책자료, 산업연구원, 1998. 8.

    ■ 정책평가 및 성과관리제도

    『고용보험사업 심층평가』, 노동부(共著), 2007. 12.
    『고용보험사업 성과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6. 12.
    『노동행정에 있어서 성과관리제도 도입방안』,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4. 12.

    ■ 기타

    『정부부처 연구수요에 따른 정책연구』, 미래정책포커스 통권 16호 2012년 1ㆍ2월호,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2012. 1. pp. 45.
    『근로기준선진화 방안 추진을 위한 종합실태조사』,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9. 12.
    『2009년 지역별 인력 및 훈련수요 조사』,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9. 11.
    『근로기준선진화 방안의 고용효과 분석』,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8. 12.
    『수도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적자원개발전략』, 용역보고서, 경기개발연구원(共著), 2007. 11.
    『한국적 노사관계의 변화 방향』, 종합물가정보 3월호(제435권), 한국물가정보, 2007. 3.
    「지역발전과 인적자원개발」 in 『강원지역의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 실태와 과제』, 강원사회연구회, 2007  
    『바람직한 노사관계와 국가경쟁력』, 종합물가정보 2006. 8월호(통권 제430호), 한국물가정보, 2006. 8.
    『노동시장조기경보시스템(EWS) 지표 개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6. 1.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 방안』,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5. 1.
    『노동시장 조기경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용역보고서, 노동부(共著), 2004. 12.
    『노사관계의 안정 무엇이 문제인가?』, 종합물가정보 8월호(제34권 제8호), 한국물가정보, 2003. 8.
    『한국의 노동: 1987~2002』, 한국노동연구원(共著), 2003. 9.
    『사회안전망의 국제비교 I : 영국』, 한국노동연구원, 2002. 3.
    『빈곤의 원인에 대한 실증분석: 패널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추계학술세미나, 한국노동경제학회(共著), 2001. 11.
    『빈곤의 규모와 이행과정』, 연세경제연구,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共著), 2001. 9.PP511-539.
    『노동시장의 변화와 사회적 부담』, 용역보고서(기획예산처), 한국노동연구원, 2000. 12.
    “Duration Analysis of Welfare Spells: With Applications to the NLSY and NLS
    Young Women Data.", Ph. D. Dissertation,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September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