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광장
연구원의 최신 소식과 채용/입찰 정보, 토론회 및 세미나 정보입니다
연구원동정
연구원동정
All 256. Page 1/26 RSS
-
[연구원동정] 제1차「KLI 탈탄소사회와 노동 포럼」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2023년 4월 6일, 「KLI 탈탄소사회와 노동 포럼(1차)」 을 개최하였다.“기후위기와 기후불평등”을 주제로 진행한 제1차 포럼에서 발제자로 참석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의 한재각 연구기획위원은 △기후위기 원인과 현황과 한국 사회의 대응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종합보고서 내용 및 쟁점 △정부 국가탄소중립 녹생성장 기본계획의 내용 및 쟁점 △기후불평등과 노동문제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발표를 진행하였다. 발표 이후 포럼 참가자들은 정의로운 전환과 일자리, 에너지 기본권과 요금인상, 기후위기 담론의 대중화와 노동관련 아젠다의 창출, 민주적인 기후위기 대책 논의 체계, 기후위기 대응으로서의 노동시간 단축 등의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제2차 포럼은 ‘(가제) 기후·에너지 위기와 산업 대응 방향: 전력산업과 철강산업 중심으로’(발표 : 김경식 ESG네트워크 대표 겸 고철연구소 소장)를 주제로 5월 17일(수) 오후 3시에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이정희 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김수정 전문보조원Date 2023.04.17 Hit 177
-
[연구원동정] 제1차「KLI 산업안전보건포럼」개최2023년 제1차Date 2023.04.10 Hit 218
에서는 국회미래연구원의 정혜윤 박사님, 이상직 박사님을 모시고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의 정치과정 : 국회 입법과정을 중심으로’의 주제의 발제를 진행하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에 대한 내용 자체보다는 중처법에 대한 입법정치가 가능했던 사회적/정치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것이 국회 내에서는 어떻게 작동했는가를 살펴보았다. 발제 이후에는 중처법에 대한 노사관계 차원에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조성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토론과 국회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입법과정에 대한 이해가 높은 김태영 서울시 노사협력팀장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제2차 은 “사업장 산업안전보건 현황과 노사관계”라는 제목으로 4월 27일(목) 오후 3시 한국노동연구원 여의도 회의실에서 오프라인/온라인 병행으로 진행될 예정이다.*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박종식 부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정슬기 전문보조원 -
[연구원동정] 제1차「KLI 고령노동 포럼」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3월 30일(목) 오후 2시, 한국노동연구원 7층 대회의실에서 제1차 「KLI 고령노동 포럼」 을 개최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며 진행된 이날 포럼에서는 이철희 교수(서울대학교 경제학부)가 ‘장래인구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전망과 과제’ 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철희 교수의 발제 이후에는 이승렬 선임연구위원(한국노동연구원)의 사회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지정토론자로 참석한 이승희 부연구위원(KDI)은 발제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을 제시하으며, 지정토론 외에도 모든 참석자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폭넓고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한 건설적인 논의가 되었다. 제2차 포럼은 4월 26일(수) 오후 2시, 한국노동연구원 7층 대회의실에서 온라인/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진성진 부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손창현 전문보조원Date 2023.04.05 Hit 203
-
[연구원동정] 제3차「KLI 일터혁신 포럼」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3월 16일, 「KLI 일터혁신 포럼(3차)」 을 온라인/오프라인 병행하여 개최하였다. 제3차 일터혁신 포럼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 장홍근 선임연구위원의 사회로 김인수 책임컨설턴트(시엔피컨설팅)가 ㈜플레이스터디 컨설팅 사례를, 정호석 노무사(능률협회컨설팅)가 ㈜웅진 컨설팅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어 정승국 고려대 객원교수와 류성민 경기대 교수의 심도 있는 토론과 함께 참석자들의 생산적인 논의가 진행되었다. 제4차 포럼은 ‘디지털 기술과 노동전환’(발표: 강혜정 컨설팅 HPC대표, 토론: 노세리 KLI 연구위원, 이상준 KLI 부연구위원, 사회: 노용진 서울과기대 교수)을 주제로 4월 20일(목) 오후 3시에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조성재 선임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문정혜 전문보조원Date 2023.03.27 Hit 107
-
[연구원동정] 제8차「저출산 시대와 노동」포럼 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11월 11일 저출산 문제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출산 이후 경력단절, 질 낮은 일자리로의 재진입 등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올바른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양성평등을 정착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저출산 시대와 노동」 포럼(8차)을 온라인 세미나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연세대학교 양희승 교수는 ‘Trusted Institutions and Mobility Restriction: Evidence from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라는 주제로 한국 수도권의 대중교통 및 정치적 성향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2020-2021년 COVID-19 기간에 예방 조치 준수 경향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관과 정치적 성향의 역할에 대해 발표하였다. 발표 중에 발제자와 참석자들 간 폭넓고 심도 있는 토론이 이루어졌다. *발표자료 및 발표일정:https://github.com/shinkangecon/kli_fertilityforum.github.io*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강신혁 부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권용범 전문보조원Date 2022.11.22 Hit 736
-
[연구원동정] 제7차「청년이 미래다」포럼 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10월 25일, 청년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기 위한 「청년이 미래다」 포럼(7차)을 온라인 세미나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김태훈 경희대학교 교수는 ‘Cohort Size and Earnings in Korea’를 주제로 발제를 진행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참석자들의 깊이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2022년 「청년이 미래다」 포럼은 이번 7차 포럼을 끝으로 올해 일정이 종료되었다.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홍정림 부연구위원*포럼 간사 : 한국노동연구원 윤서노 연구보조원Date 2022.10.27 Hit 338
-
[연구원동정] 제7차「저출산 시대와 노동」포럼 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10월 7일 저출산 문제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출산 이후 경력단절, 질 낮은 일자리로의 재진입 등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올바른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양성평등을 정착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저출산 시대와 노동」 포럼(7차)을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세미나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연세대학교 한유진 교수는 ‘Impacts of In-Person School Days on Student Outcom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Korean High Schools’ 주제로 COVID-19로 인해 학교별로 등교가 제한되었던 기간이 달랐던 점을 활용하여 대면 수업 참여 정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발제자와 참석자들 간 폭넓고 심도 있는 토론이 이루어졌다. 제8차 포럼은 11월 11일에 온라인 세미나로 열릴 예정이며, ‘Political Orientation and Mobility Restriction: Evidence from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with 김성진)’ 주제로 연세대학교 양희승 교수의 발표가 계획되어 있다. *발표자료 및 발표일정:https://github.com/shinkangecon/kli_fertilityforum.github.io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강신혁 부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권용범 전문보조원Date 2022.10.17 Hit 350
-
[연구원동정] 제6차「청년이 미래다」포럼 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9월 27일, 청년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청년이 미래다」 포럼(6차)을 온라인 세미나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이종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는 ‘국내 해외 유학생 추이와 시사점: 외국인 유학생 인증제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변금선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의 다차원 빈곤 실태와 정책대응'을 주제로 각각 발제를 진행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참석자들의 깊이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제7차 포럼은 10월 25일(화)에 개최할 예정이며, ‘인구구조 변화와 청년 노동시장’을 주제로 김태훈 경희대학교 교수의 발표가 계획되어 있다.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홍정림 부연구위원*포럼 간사 : 한국노동연구원 윤서노 연구보조원Date 2022.10.05 Hit 295
-
[연구원동정] 제6차「저출산 시대와 노동」포럼 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9월 16일 저출산 문제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출산 이후 경력단절, 질 낮은 일자리로의 재진입 등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올바른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양성평등을 정착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저출산 시대와 노동」 포럼(5차)을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세미나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명선하 교수는 ‘Discrimination and Female Entrepreneurship: Evidence from Female Entrepreneurs in South Korea’를 주제로 IMF 외환위기 이후 여성 창업비율이 증가한 현상을 보고하고, 이 현상이 금융시장 여건 변화로 인해 발생했을 수 있었음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발제자와 참석자들 간 폭넓고 심도 있는 토론이 이루어졌다. 제7차 포럼은 10월 7일에 온라인 세미나로 열릴 예정이며, ‘Impacts of In-Person School Days on Student Outcom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Korean High Schools (with Hyuncheol Bryant Kim and Hee-Seung Yang)’ 주제로 연세대학교 한유진 교수의 발표가 계획되어 있다. *발표자료 및 발표일정:https://github.com/shinkangecon/kli_fertilityforum.github.io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강신혁 부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권용범 전문보조원Date 2022.09.22 Hit 318
-
[연구원동정] 제5차「저출산 시대와 노동」포럼 개최한국노동연구원은 8월 12일 저출산 문제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출산 이후 경력단절, 질 낮은 일자리로의 재진입 등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올바른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양성평등을 정착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저출산 시대와 노동」 포럼(5차)을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세미나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University of Mannheim 염민철 교수는 ‘Aggregate and Intergenerational Implications of School Closures: A Quantitative Assessment’을 주제로 학교 폐쇄가 인적자본 축적, 세대 간 이동성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장기효과를 구조적 모형을 통해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참석자들과 폭넓고 심도있는 토론이 이루어졌다. 제6차 포럼은 9월 16일에 온라인/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세미나로 열릴 예정이며,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명선하 교수의 발표가 계획되어 있다. *발표자료 및 발표일정:https://github.com/shinkangecon/kli_fertilityforum.github.io *포럼 책임자 : 한국노동연구원 강신혁 부연구위원*포럼 간 사 : 한국노동연구원 권용범 전문보조원Date 2022.08.26 Hit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