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기본연구사업

중소 제조기업의 일터혁신 연구

대과제명

  • 연구책임자노세리
  • 연구게시일/종료일 2018.01.01 / 2018.10.31
▣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 현 정부는 선결해야 하는 국가과제 중 하나로 건강한 중소기업의 성장 환경 조성 상정

○ 중소기업이 대기업 부품을 조달하는 역할에서 나아가 국가 경제뿐 아니라 세계 경제를 주도할 수 있는 역할로
설정하기를 기대함.
○ 현재 한국은 극심한 노동시장의 이중화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핵심에 중소기업이 있음.
○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여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인하여 발전 가능성 저해되고 있음.

□ 일터혁신은 노동시장의 이중화 문제를 해결하여 기업의 건강한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식으로 주목받았지만, 최
근 관심이 줄어들고 있어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무엇보다 그 효과성에 대한 의문 증가

○ 사업체패널 자료를 활용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일터혁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추세를 보임
(조성재, 2012).
○ 선행연구 일터혁신과 관련한 새로운 요인 탐색 노력 부족으로 연구 답보 상태에 있음(김현동·신은종, 2011; 조성재
·전우석, 2011; 김현동·이동진, 2012; 심용보·허찬영, 2013;강은미·안종태, 2015; 박진아·고경한, 2016; 노용진,
2017).
□ 일터혁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중시 풍토에서 자칫 간과될 수 있는 노동의 가치와 역할을 상기하여 기업의
생산성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국가 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해야 할 이슈임.

○ R&D가 제품이나 서비스로 구현되어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일터혁신과 같은 사회적 시스템의 보완 필요
○ 기술과 기능의 상호보완을 통하여 기업 생산성을 높여 임금수준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품질이나 제품의 변화가
일어나게 하여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주도경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

□ 일터혁신을 통해 중소기업이 가진 임금이나 근로조건 등의 문제 해결할 수 있다고 보지만, 실제 중소기업에서 일터혁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하고 있으며 또한 그 효과가 어떠한지 밝히려는 노력 부족

○ 선행연구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 또는 해외 사례 중심으로 일터혁신 사례 개발(배규식·정승국, 2006; 박준식·이영호,
2008; 박상언, 2008; 정승국, 2009; 신언철, 2009; 김현정·이상우·장영철, 2011).
○ 한국 중소기업 일터혁신 사례 및 모델 부재
○ 자원의 제약이 큰 중소기업이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 일터혁신 기업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쉽지 않음.
- 기업 외부, 내부 환경 차이로 인하여 기존 일터혁신 성공요인 중소기업에 적용 어려움
○ 일터혁신 중소기업에게 중요 이슈이지만 대표적 사례 및 방식 부재
○ 이러한 점에서 상대적으로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중소기업 사례 및 모형 개발 필요

▣ 연구 목적

□ 연구는 중소기업 일터혁신에 대한 이론과 모델을 개발하여 정책 방안에 초석 마련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부분으로 구성

○ 첫째,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 기존 일터혁신 이론의 중소기업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한계 파악
○ 둘째, 설문을 통하여 현재 중소기업의 일터혁신 실태 조사
○ 셋째, 기능, 암묵지, 작업과정 지식, 숙련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일터혁신의 의미, 필요성, 효과 등을 이론적으로 논의
○ 넷째, 실제 일터혁신을 구현한 중소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중소기업 일터혁신 유형과 모델 개발
○ 다섯째, 귀납적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중소기업 일터혁신 유형 및 모델을 바탕으로 일터혁신 제도와 촉진 요인 도출
○ 여섯째, 독일의 강소기업의 작업장 혁신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에서 도출한 일터혁신 제도와 촉진 요인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 논의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