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고용영향평가 결과

고용영향평가 결과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고용에 미친 영향 - 노동시장 전반에 미친 영향 및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

평가연도, 관계부처, 연구자명,
평가연도 2021
관계부처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산업연구원, 부산대학교, 고려대학교, 부경대학교
연구자 장인성, 강신혁, 김세움, 윤준현, 길은선, 차경수, 한치록, 황선웅
다운로드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고용에 미친 영향(장인성 외) (2).pdf

고용의 양

 □ 노동 수요 측면
 
  ○ 코로나19 위기는 외부 활동 제약으로 인한 경제 전반의 수요 위축이 큰 영향을 미쳤으므로 노동수요 변동 요인에 대한 분석이 중요

     - 위기 시 노동수요의 변동은 기업이나 산업의 매출 변동, 미래의 국내외 시장상황 변화에 대한 예측에 따른 투자 변동 등에 의해 발생하므로 주로 기업 및 산업 자료를 통해 분석

 □ 노동 공급 측면
 
   ○ 코로나19가 고용에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과 비정규직의 노동공급에 미친 영향 분석

     - 코로나19 감염 확산 초기에 고용 감소가 특히 현저했던 청년 및 여성층의 노동시장 참가 행태,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의 고용 및 소득 차이에 미친 영향 분석
    
     -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노동시장의 조정은 유급/무급 휴직의 증가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므로 산업별, 직종별 노동시간, 고용률, 휴직률 등의 변화 분석

고용의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