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고용영향평가 결과

고용영향평가 결과

대규모 CCUS(CO2 포집·저장·활용) 사업의 고용영향

평가연도, 관계부처, 연구자명,
평가연도 2021
관계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연구자 신규수, 부가청, 김만영, 장진규, 이광호
다운로드 대규모 CCUS(CO2 포집·저장·활용) 사업의 고용영향(신규수 외).pdf

고용의 양

  ○ 전문가 집단 설문조사에 근거해 CCUS 산업발달 시나리오별(2030, 2040, 2050년 시점 기준) 정부투자를 예측하고 산업 연관 분석을 통해 상용화 시 고용효과 추정 

    - CCUS 기술을 정의하고 표준산업분류 세세분류로 매칭, RAS 방법론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정부 기술개발 투자에 따른 기업 상용화(설비투자) 시 고용효과분석
구분 내용
시나리오1
(Base)
향후 10년간의 집중투자 기간에는 설문조사 결과의 가중평균치인 연간 11.4%의 증가율로,
이후 2050년까지는 과거 10년간 환경분야 평균 증가율인 5.4%로 정부의 투자 증가
시나리오2
(Radical)
향후 10년간의 집중투자 기간에는 설문조사 결과의 가장 큰 증가수치인 녹색성장 계획에 근거한 녹색기술 분야 증가 수준인 연평균 18.9%의 증가율로 증가, 이후 2050년까지는 과거 10년간 환경분야 평균 증가율인 5.45%로 정부투자 증가
시나리오3
(Conservative)
향후 10년간의 집중투자 기간 및 이후에도 환경 분야 투자 평균 증가율인 5.4%로 정부투자 증가
  * 기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상용화 성공기업은 ‘R&D 투자액’의 약 15.1배를 설비(유형자산)에 투자하는 것으로 가정

고용의 질

○ CCUS 기술·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