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센터
한국노동패널조사
사업체패널조사
전자도서관
로그인
회원가입
장바구니
페이스북
트위터
ENGLISH
전체메뉴
발간자료
최신 발간물
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
이슈페이퍼
발간물 구독 안내
고용노동정보
노동시장/노사관계전망
노동판례리뷰
국내노동동향
KLI 노동통계 Archive
알림광장
토론회 및 세미나
공지사항
채용정보
입찰공고
연구원 동정
보도자료
KLI 관련기사
영상자료
해외출장보고서
참여광장
노동정책연구 원고모집
연구과제 수시제안
온라인신고센터
FAQ
연구원 소개
원장실
KLI소개
조직안내
홍보관
연구분야
연구사업
교류협력기관
노사관계최고지도자과정
찾아오시는길
정부3.0
정보공개 제도안내
정보공개
사업실명제
공공데이터 개방
계약/입찰정보
이용자가이드
로그인
KLI 회원정책
ID/PW 찾기
저작권정책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고객헌장
관련사이트
사이트맵
홈페이지 안내
마이페이지
내정보
스크랩
장바구니
구매결제관리
논문투고현황
도서회원안내
노사관계최고지도자과정
웹진구독신청
통합검색
통합검색
게시판
메뉴
웹페이지
멀티미디어
첨부파일
발간자료
연구원
Search
고용노동정보
노동시장/노사관계전망
노동판례리뷰
국내노동동향
KLI 노동통계 Archive
노동시장/노사관계전망
고용노동정보
노동시장/노사관계전망
SNS공유하기
제목
노사관계 평가와 전망 _‘임중도원1)’의 노사관계 : 2018년 평가와 2019년 전망
작성일
2019.01.10
원문
2_특집 1_2018년 노사관계평가 및 2019년 전망(이정희).pdf
조회수
4093
2018년 노사관계는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하는 시기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노동존중사회 실현’을 내건 현 정부의 출범은 노사관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 집권 1년 차인 2017년 노사관계는 지난보수정권 집권기의 대립과 갈등을 넘어 참여와 협력의 관계로 전환하는 양상을 띤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혁정책 추진 과정에서 속도와 방향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적어도 우려보다는 기대감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목록
이전글
2018년 노동시장 평가와 2019년 전망
다음글
2018년 임금동향과 2019년 임금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