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한국노동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고용·노동정책을 선도하는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지난 29년간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고 합리적 노동정책의 개발에 앞장서 왔습니다.
2020년을 눈앞에 둔 지금 우리 사회는 저성장 시대로의 진입, 디지털 기술의 빠른 보급, 동아시아 국가들의 빠른 산업화로 인한 국제 분업질서의 재구축, 국내경제의 독점구조 심화, 급속한 고령화 등 국내외 환경의 격변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사회 환경변화에 맞추어 한국노동연구원은 한편으로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의 개혁, 빈부격차의 완화, 청년실업의 해결을 위한 방안 마련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위기에 대해 고용에서의 대응방안에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17년 정권 교체와 더불어 제시된 새로운 국정과제인 좋은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을 뒷받침하고, 땀 흘려 일하는 사람들이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해 왔습니다. 가령 ‘불평등 해소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제도 개혁’, ‘청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방향 모색’ 등을 주제로 여러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기술발전과 고용형태의 다양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 ‘전환기의 노사관계와 새로운 발전 방향’ 등과 같이 미래를 대비한 대응책 마련을 위한 연구에도 힘을 쏟았
습니다.
이제 2017년 한 해 동안 한국노동연구원이 수행한 주요 연구사업의 성과를 묶어 연차보고서를 발간합니다. 이 보고서가 고용·노동정책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토론 활성화의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더 나은 정책 개발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