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행복에 대한 연구 저변을 확대하여 국민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실증분석 및 정책제안 등을 위해 3년에 걸쳐 수행된다. 연구 목적을 요약하면 첫째, 행복경제학의 주요 논의를 검토하여, 노동경제학적 시각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행복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틀거리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한국노동패널조사 등 기존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과 여가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과 정책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행복포럼(가칭)을 통해 관련 전문가들과 행복경제학의 흐름 및 본 연구의 결과를 공유하여 노동경제학뿐 아니라 경제학과 사회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행복경제학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있다. 넷째, 기존 실태조사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여 일과 행복과 관련된 보다 적확한 지표와 관련 변수를 변별하기 위한 실태조사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한국노동패널조사에 적용하여 생애사 또는 노동생애사와 행복 간의 관계를 보다 과학적인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내어 국민행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일과 행복에 관한 국제학술대회(The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k and Happiness)’(가칭)를 개최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의 소통을 통하여 국내에서의 일과 행복에 관한 연구를 진작하는 데 있다.
이 보고서는 3개년 과제의 제1차년도 연구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기존 실태조사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일과 관련된 의사결정과 정책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한편 실태조사 자료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행복을 측정하기 위한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실태조사에 적용함으로써 제2차년도 연구에서 일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본격적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