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 연구는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 시리즈의 네 번째 연구이다.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Ⅱ)'에서는 패널자료에서 소득 히핑(heaping) 표본이탈, 측정오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Ⅲ)'에서는 소득 히핑, 표본이탈, 측정오차 문제를 통계적으로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패널 품질개선 연구 시리즈에서는 패널 표본이탈의 문제를 계속 다루어 왔다.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Ⅱ)'에서는 노동 패널자료의 표본이탈 사유를 소멸과 비응답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표본이탈이 임금에 대한 회귀분석과 임금 불평등 분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Ⅲ)' 제4장에서는 패널자료에서 표본이탈을 교정하기 위한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소개하였다. 특히 표본이탈로 인하여 추정에 편의(bia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과 표본이탈의 편향을 교정하는 방법을 개괄하였다.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동태적 패널(dynamic panel) 모형에서 표본이탈 문제를 다룬다. 표본이탈이 존재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동태적 패널모형을 분석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기존의 해결방법을 검토하며, 효율성을 제고한 새로운 해결책을 알아본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 추정량의 통계적 특성을 보이며, 이 방법을 사업체 패널에 응용한다. 그리고 표본이탈이 내생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동태적 패널모형에서 표본이탈을 교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Ⅲ)'의 제5장에서는 표본이탈의 경우를 ‘Non- ignorable missing’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그리고 제6장에서는 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기록을 담은 paradata 정보를 활용하여 가중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제3장에서는 이 두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paradata에 있는 사업체의 응답 성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응답 편향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 제4장에서는 기존의 사업체 패널조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새로운 패널 표본 설계 또는 기존 패널을 보완하는 표본 재설계를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다. 특히 표본이탈을 고려하면서 표본을 추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을 검토한다.
본 연구 제5장에서는 노동 패널자료에 나타난 변수들의 시계열상 일관성을 기준으로 몇 가지 변수들에 대해 측정오차의 심각성을 검토한다. 이러한 검토과정을 통하여 임금, 근로시간, 근속기간, 고용형태, 연령, 성, 학력, 산업, 직종, 사업체 규모, 노조 등 기본적인 노동시장 변수들에 대해 미국의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자료검증 연구와 비슷한 자료검증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