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제10차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KLIPS는 횡단면이나 단편적인 조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노동시장
의 동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과 가구에 대한 미시자료를 패널로 얻기 위한 조사이다.
패널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가운데 하나는 조사를 위해 추출한 최초 표본을 이후 조사에서도 계속 조사할 수 있는가라는 표본유지율의 문제이다. 지
난 제9차 조사에서 KLIPS의 유효 원표본 가구 유지율은 76.5%였고 이번 제10차 조사에서는 75.5%이다. 이는 외국의 주요 패널조사들
의 표본유지율과 유사한 수준이다. 한편 조사원 교육, 현장 방문을 통한 조사과정 점검, 데이터 클리닝 강화, 자료 사용자 조언의 적극 반영 등
을 통해 KLIPS 자료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었다.
본 보고서는 KLIPS의 조사내용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KLIPS는 기본조사와 부가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조사는 다시 가구에 대한 조사
와 개별 가구원에 대한 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보고서의 제1장과 제2장은 각각 보고서의 머리말과 제10차 조사에 대한 개관이다. 제3장과 제
4장은 가구에 대한 조사내용을 각각 조사가구의 특성과 가계경제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제5장과 제6장 및 제7장은 개별 가구원들에 대한 조사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각각 개별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및 근로 특성을 살펴본다. 제8장은 부가조사로 실시한
고용형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한다. 마지막 제9장은 패널자료에서 파악할 수 있는 동태적 특성 가운데 경제활동상태의 동학
(dynamics)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사용자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노동패널조사는 자주 받는 질문들(FAQ)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이를 SAS 및 SPAS 프로그램으
로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1차부터 10차까지 설문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
의 패널조사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CNEF)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