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제10차(2007)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 저자 남재량, 이상호, 최효미, 신선옥, 배기준
  • 출판일 2009.04.30
  • 판매가 9000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156 페이지
  • ISBN  
절판  구매불가
  • 목차
    요 약 i
    제1장 머리말 1
    제2장 한국노동패널 10차 조사의 개요 14
    제1절 한국노동패널조사란? 14
    제2절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과 설문 내용 17
    1.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 17
    2. 설문 내용 19
    제3절 조사 방법과 조사 결과 24
    1. 조사 과정 및 조사 방법 24
    2. 조사 결과 및 원표본유지율 28
    제4절 응답 가구와 가구원의 특성 32
    1. 응답 가구의 특성 32
    2. 조사성공가구원의 특성 36
    제5절 이사?분가가구와 신규 조사자의 특성 39
    1. 이사가구의 특성 39
    2. 비원표본가구(분가가구)의 특성 42
    3. 비성공가구의 특성 43
    4. 신규 조사자의 특성 45
    제6절 한국노동패널의 가중치 47
    1. 1차년도 조사의 가중치 부여방법 48
    2. 2차년도 조사 이후의 가중치 부여방법 48
    3. 가중치 변수 및 이용방법 49
    제3장 조사가구의 특성 51
    제1절 가구 및 세대 구성 51
    제2절 가구주 및 가구원의 특성 55
    1. 가구주의 특성 56
    2. 가구원의 특성 57
    제3절 가구원의 출생과 사망 58
    제4장 가계경제 62
    제1절 가구소득 62
    1. 가구의 총소득 64
    2. 소득원천별 가구소득 65
    제2절 가구소비 66
    1. 생활비 67
    2. 저 축 69
    3. 따로 사는 가족과의 경제적 교류 70
    제3절 주거형태 및 비용 72
    1. 입주형태 및 주거비용 73
    2. 주택의 종류 76
    제4절 자산 및 부채 77
    1. 부동산자산 77
    2. 금융자산 79
    3. 가구의 부채 81
    제5절 자녀 교육비 82
    제5장 개인의 경제활동상태 84
    제1절 경제활동상태 84
    제2절 취업자의 특성 88
    제3절 미취업자 93
    1. 구직활동 93
    2. 희망 일자리의 특성 95
    제6장 임금근로자의 특성 97
    제1절 임금근로자의 특성 97
    제2절 근로시간 101
    1. 평균 근로시간 102
    2. 초과근로시간 104
    제3절 임 금 106
    1. 임금 지급주기 및 임금 산정방식 106
    2. 월평균 임금 107
    제4절 비정규직 근로자 113
    1. 비정규직의 규모 113
    2.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115
    제7장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117
    제1절 종사상 지위 118
    제2절 근로시간 120
    1. 근로시간의 규칙성과 주평균 근로일수 121
    2. 주당 근로시간 122
    제3절 근로소득 125
    제4절 사업체의 창업 129
    제8장 고용형태 부가조사 131
    제1절 고용형태 132
    제2절 비정규 근로의 일자리 특징 137
    제3절 간접고용의 특징 143
    제4절 특수고용의 특징 147
    제9장 경제활동상태의 동태적 변화 150
  • 요약
    본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제10차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KLIPS는 횡단면이나 단편적인 조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노동시장 의 동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과 가구에 대한 미시자료를 패널로 얻기 위한 조사이다. 패널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가운데 하나는 조사를 위해 추출한 최초 표본을 이후 조사에서도 계속 조사할 수 있는가라는 표본유지율의 문제이다. 지 난 제9차 조사에서 KLIPS의 유효 원표본 가구 유지율은 76.5%였고 이번 제10차 조사에서는 75.5%이다. 이는 외국의 주요 패널조사들 의 표본유지율과 유사한 수준이다. 한편 조사원 교육, 현장 방문을 통한 조사과정 점검, 데이터 클리닝 강화, 자료 사용자 조언의 적극 반영 등 을 통해 KLIPS 자료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었다. 본 보고서는 KLIPS의 조사내용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KLIPS는 기본조사와 부가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조사는 다시 가구에 대한 조사 와 개별 가구원에 대한 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보고서의 제1장과 제2장은 각각 보고서의 머리말과 제10차 조사에 대한 개관이다. 제3장과 제 4장은 가구에 대한 조사내용을 각각 조사가구의 특성과 가계경제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제5장과 제6장 및 제7장은 개별 가구원들에 대한 조사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각각 개별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및 근로 특성을 살펴본다. 제8장은 부가조사로 실시한 고용형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한다. 마지막 제9장은 패널자료에서 파악할 수 있는 동태적 특성 가운데 경제활동상태의 동학 (dynamics)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사용자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노동패널조사는 자주 받는 질문들(FAQ)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이를 SAS 및 SPAS 프로그램으 로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1차부터 10차까지 설문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 의 패널조사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CNEF)도 기울이고 있다.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재량 님의 다른 보고서 : 36 건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36 전일제 환산 고용지표에 관한 연구 남재량, 이철인, 최형재 2022.11.30 전일제 환산 고용지표에 관한 연구 바로보기
35 주된 일자리 중고령층 노동시장 연구 남재량, 김선빈, 장용성, 한종석 2021.12.30 주된 일자리 중고령층 노동시장 연구 바로보기
34 중고령층 노동시장의 특성 변화와 정책과제 남재량, 김동배 2020.12.30 중고령층 노동시장의 특성 변화와 정책과제 바로보기
33 2018년 근로시간 단축법 시행의 고용효과 연구 남재량 2020.12.30 2018년 근로시간 단축법 시행의 고용효과 연구 바로보기
32 고령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고용시스템의 모색 남재량,김주섭,박우성 2019.12.30 고령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고용시스템의 모색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