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고용보험사업 심층평가
  • 저자 방하남,나영선,김승택,김주섭,이규용,이승렬,이지은,박혁,윤미례,장홍근외
  • 출판일 2007.11.30
  • 판매가 -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731 페이지
절판  구매불가
  • 목차
    【1부】고용안정사업, 여성 · 고령자고용지원사업 등 24개 사업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3
    1. 고용안정사업과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체계적인 평가의 필요성 3
    2. 기존 평가체계의 한계와 문제점 4
    3. 제도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심층평가의 수행 5

    제2절 고용보험 사업평가의 범위 및 추진체계 6
    1. 2007년도 평가사업의 선정기준 및 범위 6
    2. 고용보험사업 평가 추진체계 7

    제2장 고용보험(고용안정)사업의 평가방법 및 평가지표 12

    제1절 사업의 집행과정 모니터링 및 만족도 조사 12
    1. 기본 방향과 체계 12
    2. 조사자료 및 평가방법 14

    제2절 사업평가의 개념 및 평가지표 16
    1. 사업평가의 개념 및 관점 16
    2. 심층평가를 위한 사업별 평가지표 17

    제3절 사업의 종합 비교평가 22
    1. 종합비교 평가의 목적 22
    2. 고용보험 사업의 유형별 분류 22

    제4절 심층평가를 위한 자료 및 데이터 24
    1. 고용보험 DB자료 24
    2. 사업장 및 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 자료 24

    제3장 개별 사업평가 28

    제1절 고용안정사업 - 고용조정 지원 28
    1. 고용유지지원금 28
    2. 전직지원장려금 54
    3. 재고용장려금 83

    제2절 고용안정사업 - 고용창출 지원 112
    1. 교대제전환지원금 112
    2. 중소기업근로시간단축지원금 131
    3. 중소기업고용환경개선지원금 154
    4. 중소기업전문인력활용장려금 171
    5. 중소기업신규업종진출지원금 189

    제3절 고용안정사업 - 고령자 등 고용촉진?안정 지원 204
    1. 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 204
    2. 신규고용촉진장려금 230
    3. 임금피크제보전수당 266
    4. 중장년훈련수료자채용장려금 290

    제4절 고용안정사업 - 기타 고용안정 지원 304
    1. 노사공동재취업지원센터 지원 304
    2. 취업지원민간위탁시범사업 320
    3. 고령자고용환경개선 융자사업 340
    4. 건설근로자 퇴직공제부금지원 360
    5. 건설근로자 고용안정지원금 380

    제5절 고용안정사업 - 여성 고용지원 / 모성보호급여사업 398
    1. 산전후휴가급여 398
    2. 육아휴직급여 421
    3. 육아휴직장려금 444
    4. 임신 · 출산후계속고용지원금 470

    제6절 고용보험 인프라 관련사업 485
    1. 고용안정전산망관리 485
    2. 고용보험시스템 구축사업 493

    제7절 지역고용인적자원개발사업 500
    1. 지역고용창출 및 인적자원개발지원 500

    제4장 종합비교 515

    제1절 종합 비교의 의의 515
    1. 종합 비교분석의 목적 515
    2. 종합비교분석 방법 및 사업의 개요 515

    제2절 기금지출의 종합비교 분석 517
    1. 총괄 : 지원금액 및 지원인원수 비교 517
    2. 목표대상 집단별 지원실적 비교 519
    3. 산업별 · 규모별 지원실적 비교 521

    제3절 사업평가 관점별 종합비교 분석 523
    1. 계획 및 집행단계 523
    2. 성과단계 533
    3. 사후관리단계 543

    제4절 종합평가 및 고용안정사업 개선방안제시 546
    1. 고용안정사업에 대한 종합평가 결과 546
    2. 고용안정사업의 개선방향 554
    3. 본 평가연구의 한계와 과제 557

    참고문헌 559



    【2부】직업능력개발사업 8개 사업


    제1장 서 론 565

    제1절 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565
    1. 평가의 필요성 565
    2. 목적 566

    제2절 평가대상 직업능력개발 사업의 내용 567

    제2장 평가방법 571

    제1절 국내외 평가연구 동향 571

    제2절 평가기준 및 평가지표 개발 574
    1. 평가기준 574
    2. 평가지표 개발 576

    제3절 실태조사 580
    1. 조사대상 580
    2. 실태조사 표본 현황 582
    3. 조사내용 583

    제3장 개별사업평가 585

    제1절 재직자향상훈련 585
    1. 직업능력개발훈련지원금 585
    2. 유급휴가훈련지원금 607

    제2절 신규사업 및 인프라 627
    1. 성장동력산업중급기술인력양성 627
    2. 중소기업학습조직화지원 643
    3. 중소기업핵심직무능력향상지원 660

    제3절 인력부족분야위탁훈련 678
    1. 한국폴리텍대학 위탁훈련 678
    2. 민간훈련기관 위탁훈련 705
    3. 대한상의 위탁훈련 727

    제4장 직업능력개발 사업 간 비교분석 및 종합평가 746

    제1절 비교대상 사업 및 평가개요 746

    제2절 기금지출의 종합비교 748
    1. 지원금액 및 지원인원 수 비교(2006) 748
    2. 사업주체 및 타깃집단의 비교 749

    제3절 사업유형별 개별사업 비교 751
    1. 재직자 향상훈련 751
    2. 신규사업 및 인프라 754
    3. 인력부족분야위탁훈련 756

    제4절 종합평가 및 제도개선방안 760
    1. 종합평가 760
    2. 직업능력개발 제도개선 방향 764
    3. 직업능력개발사업과 고용안정사업의 효율적 연계 765

    참고문헌 767
  • 요약
    ※ 본 보고서는 2007년 노동부 정책연구용역사업인 「고용보험사업 심층평가」에 대한 연구결과임. ※ 평가 대상사업들은 다음의 10개 항목 (A-고용안정사업/여성 · 고령자고용지원사업/고용보험인프라사업, B-직업능력개발사업 등) 으로 분류하여 연구 · 평가작업을 진행하였음.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하남 님의 다른 보고서 : 30 건
노동복지 및 노동보험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30 기업의 정년실태와 퇴직관리에 관한 연구 방하남, 어수봉, 이상민, 유규창, 하갑래 2012.12.28 기업의 정년실태와 퇴직관리에 관한 연구 바로보기
29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와 직업이동 연구 방하남, 김기헌, 신인철 2011.12.30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와 직업이동 연구 바로보기
28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와 은퇴과정 연구 방하남, 이성균, 우석진, 김기헌, 김지경 2011.02.28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와 은퇴과정 연구 바로보기
27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Work Life) 연구 방하남, 신동균, 이성균, 한준, 김지경, 신인철 2010.05.25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Work Life) 연구 바로보기
26 점진적 은퇴와 부분연금제도 연구 방하남, 강석훈, 신동균, 안종범, 이정우, 권문일 2009.04.10 점진적 은퇴와 부분연금제도 연구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