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본 보고서는 용역사업에 의한 것으로 판매하지 않습니다.
○ 지난 1988년에 최저임금법이 시행된 이후 최근까지도 최저임금제도를 둘러싸고 노사간에 의견이 종종 대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쟁점들도 부각되고 있음.
-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임.
-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도는 지난 1988년 이후 적용대상이 되는 사업장 규모 및 산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2000년 11월 24일
이후에는 1인 이상 모든 사업장의 모든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되고 있음(예외; 선원법 적용자 및 적용제외 인가자 등).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5년간 최저임금 심의의결과정에서 제기되어 왔던 주요한 쟁점들을 정리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견 및 자료들을 활용하여 개선방안의 타당성, 실효성 등을 분석하고자 함.
- 첫째, 최저임금제도 개편방안에 대하여 그 동안 제기되어 왔던 노사공익위원의 의견뿐만 아니라 일반 근로자 및 사용자의 개선의견도 참조함.
한국노동연구원은 2003년 5월에 최저임금 운영실태 및 개선의견 조사를 통하여 장애인근로자, 감시단속적 근로자, 연소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의 사용자 및 근로자(각각 100명, 100명, 50명)를 조사함.
- 둘째, 최저임금제도 운영실태와 관련하여 통계청 및 노동부의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각종 조사통계와 행정자료를 활용함.
- 셋째, OECD 국가들의 최저임금제도 운영사례(주로 한국 포함 14개국)도 참조함.
○ 본 연구는 최저임금제도를 둘러싼 주요한 쟁점들을 크게 ①결정과정, ②적용대상, ③산입임금과 관련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순차적으로
각각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