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 6집
-
저자
한국노동연구원
-
출판일
1996.04.30
-
판매가
6000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페이지
-
목차
한국노총 및 한국경총의 임금인상지침 비교분석 ------------------ 김대모
Ⅰ. 문제의 제기
Ⅱ. 한국노총의 임금인상지침 추이
Ⅲ. 한국경총의 임금인상지침 추이
Ⅳ. 종합평가
Ⅴ. 앞으로의 개선방향
시계별 자료에 근거한 고용규모 예측의 한계와 대안 -------------- 최경수
Ⅰ. 서론
Ⅱ. 기본적 이론
Ⅲ. 노동수요의 추정
Ⅳ. 취업비율을 이용한 추정
Ⅴ. 요약 및 결론
동태적 직장탐색과 미취업자의 의사결정 ------------------------- 금재호
Ⅰ. 문제의 제기
Ⅱ. 모형의 설정
Ⅲ. 자료에 대한 설명
Ⅳ. 추정결과와 의태분석
Ⅴ. 결론
0.3%의 노동경제학 (고용보험료둥 실업급부요율 추계) ------------ 어수봉
Ⅰ. 머리말
Ⅱ. 우리 나라의 실업구조
Ⅲ. 실업급부요율 추계
Ⅳ. 실업급부요율의 시뮬레이션
Ⅴ. 결론
최저임금제의 고용효과 및 운용실태에 대한 기초연구 ------------ 정인수
Ⅰ. 서론
Ⅱ. 최저임금제 성과에 대한 연구내용
Ⅲ. 최저임금제의 고용효과 연구
Ⅳ.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Ⅴ. 결론
미국기업의 경영혁신과 신노사관계 ----------------------------- 이원덕
Ⅰ. 머리말
Ⅱ. 미국기업의 경영혁신 : 고능률생산체제에의 지향
Ⅲ. 신노사관계의 의의와 특징
Ⅳ. 맺음말
신세대의 시간의식과 인적자원관리 ---------------------------- 강수돌
Ⅰ. 들어가는 말
Ⅱ. 신세대의 개념과 인적자원관리 이론
Ⅲ. 신세대의 시간의식
Ⅳ. 신게대의 시간의식이 인적자원관리에 주는 시사점
EU(유럽연합) 단일시장 현성을 위하여 취해진 배치들과 우나 나라의 수출상품에
미치는 영향 ----------------------------------------------- 윤조덕
Ⅰ. 서론
Ⅱ. 유럽연합(EU)법령, 기본규범 제정과정
Ⅲ. 안전과 보건에 관한 EU제약상의 주요조항 및 이에 의하여 제정된 EU기본규범들
Ⅳ. EU회원국들의 기계 안전에 관한 법규 및 행정규정들을 통일화·일치화시키기 위한
EU기본규범
Ⅴ. 일반적인 제품안전에 관한 EU 기본규범
Ⅵ. 우리 나라의 제품안전에 관한 법령
Ⅶ. 결론
Poverty and Inequality in Korea ---------------------------- Gyeongjoon Yoo
Ⅰ. Introduction
Ⅱ. The Data Set
Ⅲ. Changes in the Extent of Poverty
Ⅳ. Changes in Labor Income Inequality
Ⅴ. Summary and Conclusions
 |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한국노동연구원 님의 다른 보고서 : 77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