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연구는 핵심적으로 일자리 개혁과 일터혁신의 유기적 결합을 도모할 전략적 실천단위로서 지역의 가능성에 대해서 탐구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자연스럽게 다음의 세 가지 질문들을 던지도록 한다. 첫째, 일터혁신은 일자리 개혁과 함께 갈 수 있는가? 둘째, 지역은 그러한 새로운 개혁적 일터혁신 모델의 추진단위로 탈바꿈할 수 있는가? 셋째, 지역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들은 무엇인가?
연구대상으로 기존에 한국에서 도모해 온 실천양상들을 분석하고 진단해 보고자 한다. 기존의 실천들 가운데 우리에게 일정하게 알려져 있는 시도들을 사례로 삼아 본고의 문제의식에 맞추어 재조명해보고 그로부터 함의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크게 두 가지의 연구대상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하나는 지역을 단위로 하여 - 그것이 비록 명시적이지는 않을지라도 – 이미 일자리 개혁과 일터혁신의 시도를 도모한 사례들이다. 또 다른 하나는 지역을 단위로 하여 새롭게 개혁적 일자리를 창출하여 개혁을 도모하려는 시도들이다. 여기에는 특히 상생형 지역일자리의 선진사례들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