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급변하는 경제․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그동안 지역의 경제 및 고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던 산업집적지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예상되는 장애요인들을 극복하여 경쟁력을 유지하고 양질의 고용 창출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먼저, 산업단지 유형별로 관련 통계 분석을 통해 지역고용 및 노동시장, 생산의 변화추이를 분석한다. 둘째, 다양한 자료를 결합하여 지난 10년간(2009~18년) 기업패널자료를 구성, 산업집적지의 존재가 기업의 생산, 고용, 기술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용, 매출, R&D 등 기업성과 변수들을 기준으로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spill-over)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시흥지역 산업집적지를 중심으로 현장 실태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산업집적지 현황 및 특성, 기술경쟁력 수준, R&D 투자, 고용 및 노동시장 등을 조사․분석한다. 우리나라 산업집적지의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고용 창출 및 기업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 향후 전망과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