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산업집적지와 지역고용 창출
  • 저자 윤윤규,노용진,조성철
  • 출판일 2019.12.30
  • 판매가 7000 원
  • 재고 재고있음
  • 페이지수 140 페이지
  • ISBN 979-11-260-0396-9
절판  구매불가
  • 목차
    요 약 I

    제1장 들어가는 글 (윤윤규) 1

    제2장 전국 산업단지 고용․생산 변화추세 분석 (조성철) 3
    제1절 전국 산업단지 고용 및 생산 추이 3
    제2절 국가산업단지 고용 및 생산 추이 15
    제3절 산업단지 입지여건에 따른 고용 및 생산 추이 비교 25
    제4절 일자리 유형에 따른 산업단지 고용추세 비교 36
    제5절 소 결 48

    제3장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 : 고용효과를 중심으로 (윤윤규) 52
    제1절 선행연구 :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 52
    제2절 분석자료의 구성 및 기초통계 55
    제3절 유형별 및 광역시도별 산업단지 입주의 효과 59
    제4절 주요 국가산업단지별 확산효과 분석 68
    제5절 요약 및 결론 82

    제4장 시흥시의 산업집적지와 고용 (노용진) 86
    제1절 들어가는 말 86
    제2절 시흥지역 산업단지 개요 88
    제3절 시흥지역 산업단지의 특성들 95
    제4절 시흥지역 산업단지의 고용 현황 108
    제5절 소 결 120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윤윤규) 126
    제1절 전국 산업단지의 고용 및 생산 변화추세 분석 127
    제2절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 추정 : 고용, 매출, R&D 129
    제3절 시흥지역의 산업집적지와 고용 132

    참고문헌 138
  • 요약
    급변하는 경제․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그동안 지역의 경제 및 고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던 산업집적지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예상되는 장애요인들을 극복하여 경쟁력을 유지하고 양질의 고용 창출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먼저, 산업단지 유형별로 관련 통계 분석을 통해 지역고용 및 노동시장, 생산의 변화추이를 분석한다. 둘째, 다양한 자료를 결합하여 지난 10년간(2009~18년) 기업패널자료를 구성, 산업집적지의 존재가 기업의 생산, 고용, 기술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용, 매출, R&D 등 기업성과 변수들을 기준으로 산업집적지의 확산효과(spill-over)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시흥지역 산업집적지를 중심으로 현장 실태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산업집적지 현황 및 특성, 기술경쟁력 수준, R&D 투자, 고용 및 노동시장 등을 조사․분석한다. 우리나라 산업집적지의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고용 창출 및 기업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 향후 전망과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윤규 님의 다른 보고서 : 23 건
연구보고서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23 부산지역 노동시장 분석 및 고용정책방안 연구 윤윤규, 이상호, 류장수, 박성익, 조장식, 옥성수, 서옥순 2013.12.30 부산지역 노동시장 분석 및 고용정책방안 연구 바로보기
22 사업체패널조사[WPS]를 활용한 사업체의 동학 연구 윤윤규·김유선·김정우·노용진·박경원·한치록·홍민기 2013.04.15 사업체패널조사[WPS]를 활용한 사업체의 동학 연구 바로보기
21 고용창출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윤윤규, 정진호, 정원호, 김성오 2012.12.28 고용창출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바로보기
20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II) 윤윤규·홍민기·이상호·배기준·최효미·김기민·장숙랑·조성일·천희란 2012.12.28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II) 바로보기
19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 2010-방법론, 설정 및 평가- 윤윤규, 배기준, 윤미례, 이상호, 최효미, 김준영, 신인철, 정준호 2012.12.28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 2010-방법론, 설정 및 평가-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