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21세기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이론과 현실
  • 저자 권현지,강이수,권혜원,김서경,김석호,박명규,박명준,박종식,양종민,이병훈,이정희,허재준
  • 출판일 2017.12.29
  • 판매가 17000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40 페이지
  • ISBN 979-11-260-0189-7
절판  구매불가
  • 목차
    책머리에 부쳐

    요 약 i

    제1장 서 론 (권현지) 1
    제1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개요 5
    제3절 보고서 개관 7

    제1부 디지털 기술변동과 노동 및 고용관계의 변화: 개념적, 이론적 논의


    제2장 디지털 환경에서의 일/노동 개념: 지속, 변화, 긴장 (박명규) 13
    제1절 주제의 해묵음과 쟁점의 새로움 13
    제2절 사회변화와 개념지체 15
    제3절 일=노동 패러다임의 변화 26
    제4절 전망과 과제 33

    제3장 디지털 기술변동과 여성노동 (강이수) 40
    제1절 서 론 40
    제2절 디지털 기술 격차와 젠더의 문제(Digital Gender Divide) 42
    제3절 노동4.0시대의 도래와 여성노동 45
    제4절 4차 산업혁명과 여성의 노동경험:불안과 도전 54
    제5절 소결: 디지털 시대 성별 평등을 위한 전략 66

    제4장 디지털 기술의 심화와 일자리 (허재준) 68
    제1절 서 론 68
    제2절 기술진보가 고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70
    제3절 역사 통계로 살펴본 산업혁명과 일자리 사이의 관계 76
    제4절 기술진보와 고용 85
    제5절 디지털 기술변화와 노동시장 97
    제6절 요약과 결론 106

    제5장 디지털 기술변동과 노사관계 (이병훈) 117
    제1절 머리말: 문제제기 117
    제2절 노사관계와 기술혁신에 대한 이론적 검토 120
    제3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사관계의 예상 갈등이슈 122
    제4절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서구 노동조합들의 대응 126
    제5절 맺음말: 요약과 시사점 132

    제6장 4차 산업혁명과 시민의 노동 인식 (김석호) 134
    제1절 우리는 불안하다 134
    제2절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그리고 불안 137
    제3절 일자리는 사라지는가? 139
    제4절 트위터 분석: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143
    제5절 결론과 제언 160

    제2부 산업별 사례연구: 디지털 기술변동과 노동세계의 변화

    제7장 산업별 사례연구: 보건의료산업의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이정희) 165
    제1절 들어가며 165
    제2절 연구 질문과 관점 166
    제3절 보건의료 분야에서 기술진보 의미와 현황 168
    제4절 기술발전과 일자리 180
    제5절 현장 사례 연구 184
    제6절 소 결 202

    제8장 산업별 사례연구: 금융업의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권현지) 210
    제1절 문제제기 210
    제2절 은행업의 디지털화 및 그 영향과 관련된 주요 쟁점 212
    제3절 핀테크를 앞세운 은행업 기술체계의 변화 215
    제4절 은행업 기술변화가 던지는 고용과 작업조직에 던지는 함의 223
    제5절 핀테크는 일부 인력에 우호적으로 전개되는가(Digital inequality)? 핀테크의 불평등 효과 245
    제6절 핀테크의 전개에 따른 최근 노동조합의 대응 251

    제9장 산업별 사례연구: 음악산업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권혜원) 254
    제1절 서 론 254
    제2절 디지털 기술변화에 따른 음악산업 가치사슬의 재구조화 257
    제3절 한국에서의 가치사슬 재구조화와 디지털 시장에서의 권력과 자원의 재분배 264
    제4절 음악산업의 디지털화가 음악 생산자에게 미친 영향 273
    제5절 소 결 283

    제10장 디지털 시대 서울지역 젊은 대중예술 노동자의 노동 및 고용여건 변화조사 (양종민,김서경) 286
    제1절 연구목적 286
    제2절 연구방법 및 기초통계 289
    제3절 디지털화에 따른 노동조건 및 산업구조의 변화 292
    제4절 음악인의 경제적 안정성 및 고용환경 300
    제5절 음악인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대안 307
    제6절 결론 및 함의 315

    제11장 산업별 사례연구: 택배업의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박종식) 318
    제1절 문제 제기 318
    제2절 택배산업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321
    제3절 택배산업의 자동화 추세 331
    제4절 택배산업의 고용관계 변화 337
    제5절 자동화와 노동규율의 강화 344
    제6절 결론 및 논의의 한계 351

    제3부 모색: 노동포용적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제12장 한국형 노동4.0의 필요성과 과제: 독일 노동4.0의 수용을 통한 ‘노동포용적 디지털 경제’로의 이행 모색 (박명준) 357
    제1절 들어가며 357
    제2절 독일의 노동4.0 359
    제3절 한국형 노동4.0의 형성 과제 368

    제13장 맺음말 (권현지) 375

    참고문헌 383
  • 요약
    이 연구는 포용적 디지털화의 프레임이 결여된 채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의 4차 산업혁명, 경제의 디지털화의 양상에 대한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인식적 틀을 다지고 재구축하는 시도, 특히 기술변동, 디지털화,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 질서 전반, 나아가 사회질서 전반을 재구성해 내는 기제가 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지금의 현상에 접근한다. 이런 인식하에 본 연구진은 1부에서는 디지털화가 가져오고 있는 새로운 노동세계의 여러 이론적 쟁점에 개입하고자 했고, 2부에서는 디지털 기술혁신의 진행속도나 과정이 산업과 직업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술혁신이 노동과 고용관계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산업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권현지 님의 다른 보고서 : 6 건
연구보고서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6 복수노조 및 전임자 실태와 정책과제 이성희, 김정한, 조성재, 손영우, 권현지 2011.03.10 복수노조 및 전임자 실태와 정책과제 바로보기
5 산별교섭의 이론과 실제 - 산업별·국가별 비교를 중심으로 - 조성재,은수미,박제성,권현지,이상호,오학수,유병홍 2009.10.30 산별교섭의 이론과 실제 - 산업별·국가별 비교를 중심으로 - 바로보기
4 프리랜서 고용관계 연구 - 영화산업과 IT산업을 중심으로 - 황준욱, 권현지, 김영미, 박제성, 남재량 2009.05.25 프리랜서 고용관계 연구 - 영화산업과 IT산업을 중심으로 - 바로보기
3 작업장 혁신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배규식, 권현지, 노용진 2008.12.30 작업장 혁신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바로보기
2 금융서비스산업의 고용관계 변화 - 비정규 대고객 서비스직의 고용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 권현지, 김성훈, 마크 스튜어트, 미겔 마르티네즈 루시오 2008.09.05 금융서비스산업의 고용관계 변화 - 비정규 대고객 서비스직의 고용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 바로보기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