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프랑스 노동법 개정 과정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 저자 박제성,홍기원,조용만,손영우
  • 출판일 2016.12.30
  • 판매가 7000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155 페이지
  • ISBN 979-11-260-0116-3
절판  구매불가
  •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박제성) 1

    제2장 프랑스의 일반적 입법 절차 (홍기원) 16
    제1절 프랑스에서의 법의 종류와 그 상호관계 17
    제2절 정부법안의 준비 과정 22
    제3절 정부법안에 대한 의회 내 토의 및 표결 등의 절차 31
    제4절 정부책임부(政府責任附) 예외적 법안통과 절차 49
    제5절 소 결 52

    제3장 프랑스 개정 노동법의 내용 분석 (조용만) 55
    제1절 들어가며 55
    제2절 개별적 노동관계법 56
    제3절 집단적 노사관계법 69
    제4절 노동시장·직업훈련관계법 95
    제5절 소 결 100

    제4장 프랑스 노동개혁법과 사회적 대화 (손영우) 104
    제1절 서 론 104
    제2절 프랑스 사회적 대화의 제도와 특징 106
    제3절 노동개혁법의 제기 배경 112
    제4절 노동개혁법 도입 과정과 사회적 대화 120
    제5절 노동개혁법의 성과와 영향에 대한 전망 129
    제6절 소 결 139

    제5장 결 론 (박제성) 143

    참고문헌 150
  • 요약
    1980년대 이후 유럽 국가들은 경제를 다시 성장시키고 실업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을 유연하게 만들어야 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지나치게 경직적인 노동법과 정규직 과보호를 개혁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였다. 프랑스도 이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이른바 프랑스의 사회모델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개진되기 시작했다. 이 주장들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대별된다.
    하나는 종전의 사회모델이 지나치게 경직된 정규직 임금노동 모델이라는 점을 비판하면서, 그러한 모델이 실업을 초래하고 악화시키기 때문에 노동시장을 유연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흐름이다. 또 하나는 종전의 모델이 노동을 임금노동에 국한시키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임금노동과 비임금노동, 그리고 나아가 영리노동과 비영리노동 등 노동 일반을 포괄할 수 있는 모델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흐름이다.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제성 님의 다른 보고서 : 22 건
연구보고서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22 사업이전과 고용보장 박제성 2014.12.30 사업이전과 고용보장 바로보기
21 프랜차이즈 노동관계 연구: 하청노동연구(Ⅰ) 박제성, 김철식, 양승엽, 김기선, 김근주, 윤문희, 황경진, 박은정 2014.12.30 프랜차이즈 노동관계 연구: 하청노동연구(Ⅰ) 바로보기
20 노동판례리뷰 2012-2013 김기선, 박제성 編 2014.08.29 노동판례리뷰 2012-2013 바로보기
19 근로자대표제도의 재구성을 위한 법이론적 검토 박제성 2013.12.30 근로자대표제도의 재구성을 위한 법이론적 검토 바로보기
18 고용중심적 복지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홍민기, 홍백의, 윤자영, 박제성 2013.12.30 고용중심적 복지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