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태동하여 진화하고 있는 여러 새로운 실천들을 적극적으로 분석하여, 그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노동이해대변 체계의 새로운
구축을 어떻게 이룰 것인지에 대해서 핵심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다양한 목소리들과 실천들에 적극적으로 귀 기울이고 눈길을 주면서, 우리 사회 노
사관계의 제도적 틀이 보다 많은 노동대중들을 포괄하며 그들의 조직적 권리를 보장하고 이해대변의 기본적인 틀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하는 규범적
인 지향성을 갖는다. 노동 ‘이해대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전개되어 오고 있는 다양한 주체들의 다양한 형식의 새로운 실천들을 분석하여 오늘
날 한국 사회에서 노동이해대변의 실험적 시도들의 유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그것이 한국의 노동운동 및 노사관계 발전에 있어서 지닐 수 있는
함의가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나아가 정책적으로 향후 한국 사회에서 보다 적절하고 합리적인 노동이해대변의 구축 내지 노사관계의 확장의 길은 무엇
이 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답을 찾는 것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