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노동판례리뷰 2014
  • 저자 김기선, 박제성 編
  • 출판일 2015.02.13
  • 판매가 15000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369 페이지
  • ISBN 978-89-7356-123-0
절판  구매불가
  • 목차
    ■ 노동법의 적용 1
    · 캐디는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다 1
    · 골프장 캐디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과 부당해고의 인정 3
    · 티켓다방에서 차 배달업무를 주로 하는 종업원의 근로자성 7
    · 대리운전기사 노조의 설립신고서 반려 10
    · 대리운전 기사의 근로자성 14
    · 방과후학교 강사의 근로자성 17
    · 피고의 동업자 주장에 대한 근로자성 판단과 근로계약 성립 여부 20

    ■ 근로조건 결정규범 24
    · 정리해고를 제한하기로 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의 효력 24
    · 강행법규를 위반한 노사합의와 신의칙 28
    · 강행법규를 위반한 노사합의와 신의칙 적용의 방법 32
    · 단체협약의 해석과 적용에서의 공정대표의무 36

    ■ 근로조건 40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조항 위반의 사법적 효력 40
    · 사유 발생일 이전 1년 간의 기간을 평균임금 산정에 반영한 것이 정당한지 여부 44
    · 연차유급휴가에서 쟁의행위기간과 육아휴직기간의 처리 및 휴가일수의 계산 48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적용을 위한 상시 근로자 수 산정방법 54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 퇴직연금 수급권의 피압류적격 58
    · 재직 중인 자에게만 지급되는 임금도 통상임금이다 62
    · 부당 해고자에게 지급될 임금에는 연차휴가수당도 포함된다 67
    · 원청업체의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제1항 위반 책임 71
    · 육아휴직자의 복직 시기를 제한하는 교육부지침의 적법성 76
    · 퇴직급여 및 퇴직연금수급권에 대한 재산분할 대상성 인정 81
    · 매 근무일마다 정액 지급되는 교통비는 통상임금에 해당한다 85
    · 최저임금법 제6조 제5항이 시행된 이후 퇴직한 택시운전기사의 퇴직금 산정을 위한 최저임금액의 감액여부 88
    · 연장근로의 증명방법과 스마트폰 앱의 활용 92
    · 가족수당의 임금성과 상여금의 통상임금성 해당 여부 96
    · 월 24일 이상 근무 조건이 있는 상여금 등에 대해 통상임금을 부정 100
    · 육아휴직급여 반환명령의 정당성 105
    · 육아휴직급여와 통상임금 110
    · 재직자 조건이 부가된 정기상여금과 통상임금 113

    ■ 인사이동, 징계, 근로관계의 변동 118
    · 업무경영상 행해지는 대기발령의 법적 성격과 처우 118
    · 회사분할과 근로관계의 승계 123
    · 구조조정을 위한 자회사로의 전적과 근로조건 변경의 합리성 127
    · 아파트관리 외주 및 내주화에 따른 근로계약관계 131
    · 전문직 근로자의 사용자에 대한 비판행위와 징계 135

    ■ 근로관계의 종료 139
    · 농협법상 지역조합 간부직원의 법적 지위 139
    · 노조간부의 인사명령 거부를 이유로 한 징계해고의 정당성 143
    · 가족관계등록부상 생년월일 정정과 정년퇴직일 변경 146
    · 과격 학생활동 전력을 근거로 한 군무원 최종시험 합격 취소처분의 적법성 151
    · 경영상 이유로 해고된 자의 우선 재고용의무 156
    · 이행강제금제도 161

    ■ 노동조합 165
    · 조합사무실 운영비 지원 관행의 일방적 파기는 정당한가? 165
    · 공무원노조 설립신고 반려처분 사건 169
    · 대의원회 의결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는 ‘규약의 개정에 관한 사항’은 총회에서 의결할 수 있다 173
    · 단수 노동조합 사업장에서 교섭요구사실 공고절차 필요 여부 177
    · 휴직자나 해고자의 조합활동권과 부당노동행위 182
    · 법외노조 통보 처분에 대한 효력 정지 185
    · 원풍모방 근로자들에 대한 노동탄압과 불법행위책임 189
    · 법상노조 부인통보 후 ‘노동조합’ 명칭 사용이 노조법 위반인지 여부 192

    ■ 쟁의행위 195
    · 태업과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 195
    · 잔업·특근의 집단적인 거부가 업무방해죄에 해당되는지 여부 199
    · 파업과 업무방해죄:2009년 철도파업 사건에 대한 검토 204
    · 직장폐쇄와 조업계속 208
    · 불법파업의 반사실적 조건은 합법파업이다 213
    · 정리해고’와 ‘방송의 공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 파업의 정당성 215
    · 독단적 작업중단 및 안전점검행위의 업무방해죄 성립 여부 221
    · 형법상 쟁의행위의 체계적 지위 227
    · 방송의 공정성 보장’을 목적으로 한 파업의 정당성 230

    ■ 비정규직 234
    · 기간제법 시행과 기간제 근로계약의 갱신기대권 234
    · 기간제 근로자에게는 인정되지 않는 장기근속기간 239
    ·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 2 직업종사자의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244
    · 직접고용으로 간주된 근로자에 대한 해고 248
    · 기간제법상 무기계약근로자 의제의 예외인 ‘타 법령에서 계약기간을 정한 경우’,
    그 근로계약의 갱신가능성과 무기계약 근로자 의제의 요건 252
    · 글로벌 플레이어(Global Player)의 불법파견 256
    · 기간제근로자의 사용기간 제한은 합헌 260

    ■ 사회보장, 노동시장 264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산재보험법상 요양급여가 인정되어야 하는 근로자의 치료비를 대신 납부한 경우
    사용자를 상대로 구상할 수 있는지 여부 264
    · 국민건강보험법상 직장가입자에서 제외되는 ‘고용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인지 여부에 관한 판단 269
    · 업무상 재해를 당한 근로자가 고정된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받은 치료의 법적 성격과 치료비 책임의 귀속 272
    · 계약직 공무원은 원칙적인 연금 지급개시 연령 이전에는 연금을 받을 수 없다는 사례 275
    · 채권추심원의 근로자성 인정에 따른 고용보험료 등 부과처분의 정당성 281
    · 노동조합 전임자가 아닌 노동조합 간부의 업무상 재해 판단 284
    · 업무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 기준의 법적 성격 288
    · 전자바우처 방식의 무상보육에 있어서 보육료 부정수급 여부에 관한 쟁점 292
    · 의족 파손에 대한 요양급여 지급 인정 여부 298
    · 출퇴근 중 발생한 교통사고의 업무상 재해성 302
    · 타인의 폭력에 의한 재해와 업무의 상당인과관계 305
    · 변호사의 업무상 스트레스와 뇌출혈 발병 사이의 상당인과관계 인정 여부 309
    ·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에서 정하는 추정소득 부과처분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 313
    · 출퇴근 중에 발생한 사고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 321
    · 회식 후 귀가 중에 발생한 사고의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 325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범위 원칙과 해석 328
    · 국민연금법 상 노령연금의 분할연금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의식 330
    · 해외법인 근무와 실업급여 수급자격 334
    · 장애인 승객에 대한 철도공사의 보호의무와 손해배상 책임 337
    · 출·퇴근 중 재해와 사업주의 지배·관리성 판단 343
    · 해외근무자에 대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적용 여부와 판단기준 348
    · 주야간 교대근무 등은 뇌심혈관질환의 업무상 질병과 상당인과 관계가 있다 352
    ·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정당한 이직사유 356
    · 최고보상제도를 통해서 본 산재보험수급권의 법적 성격과 한계 362

    <부록> 노동판례리뷰 2014 목록(주제별) 366
  • 요약
    노동판례리뷰 2014는 2014년에 나온 판결에 대한 리뷰를 모은 것이다. 한국노동법학회의 노동법학과 한국노동연구원의 월간 노동리뷰에 실 렸던 노동판례리뷰를 대주제별로 분류·정리하여 펴내게 되었다.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기선 님의 다른 보고서 : 29 건
연구보고서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29 고소득 전문직 일자리 배분의 공정성 연구 -법전원 및 의전원 졸업자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김세움, 김기선 2022.12.30 고소득 전문직 일자리 배분의 공정성 연구 -법전원 및 의전원 졸업자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바로보기
28 노동판례리뷰 2019 김근주,김기선,남궁준,박제성 編 2020.02.20 노동판례리뷰 2019 바로보기
27 아파트 관리를 둘러싼 노동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김기선 2019.12.30 아파트 관리를 둘러싼 노동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바로보기
26 노동판례리뷰 2018 김근주,김기선,박제성 編 2019.02.15 노동판례리뷰 2018 바로보기
25 청년 노동시장 및 고용정책 해외사례 심층연구: 독일 김기선,오상호,권준화 2018.12.28 청년 노동시장 및 고용정책 해외사례 심층연구: 독일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