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홈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인쇄

SNS공유하기

해당 컨텐츠 트위터에 추가하기 해당 컨텐츠 페이스북에 추가하기

제7차(2004)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 저자 남재량,성재민,이상호,최효미,신선옥,석상훈
  • 출판일 2006.06.29
  • 판매가 12000 원
  • 재고 재고없음
  • 페이지수 230 페이지
절판  구매불가
  • 목차
    제1장 머리말 1
    제2장 한국노동패널 7차조사의 개요 13
    제1절 한국노동패널조사란 13
    제2절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과 설문내용 17
    1. 한국노동패널 자료의 구성 17
    2. 설문내용 20
    제3절 조사방법과 조사결과 25
    1. 조사과정 및 조사방법 25
    2. 조사결과 및 원표본유지율 30
    제4절 응답 가구와 가구원의 특성 33
    1. 응답 가구의 특성 33
    2. 조사성공 가구원의 특성 38
    제5절 이사·분가 가구와 신규 조사자의 특성 42
    1. 이사 가구의 특성 42
    2. 비원표본가구(분가가구)의 특성 43
    3. 비성공가구의 특성 45
    4. 신규 조사자의 특성 47
    제6절 한국노동패널의 가중치 48
    1. 1차년도 조사의 가중치 부여방법 49
    2. 2차년도 조사 이후의 가중치 부여방법 50
    3. 가중치 변수 및 이용방법 51
    제3장 조사가구의 특성 53
    제1절 가구 및 세대 구성 53
    제2절 가구주 및 가구원의 특성 58
    1. 가구주의 특성 58
    2. 가구원의 특성 60
    제3절 가구원의 출생과 사망 62
    제4절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 65
    제4장 가계 경제 69
    제1절 가계소득 69
    1. 가구의 총소득 70
    2. 소득원천별 가구소득 75
    제2절 가계소비 77
    1. 생활비 78
    2. 저 축 83
    제3절 주거형태 및 비용 87
    1. 입주형태 및 주거 비용 87
    2. 주택의 종류 및 주거비용 90
    제4절 자산 및 부채 94
    1. 부동산자산 94
    2. 금융자산 97
    3. 가구의 부채 100
    제5장 자녀 교육 104
    제1절 사교육 및 탁아서비스의 이용 106
    제2절 자녀교육에 따른 지출비용 114
    1. 가구의 총 지출비용 114
    2. 지출비용에 따른 가계의 경제적 부담 119
    제6장 개인의 경제활동상태 123
    제1절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124
    1. 경제활동상태 124
    제2절 취업자의 특성 131
    1. 산업별·직업별·인구학적 특성별 취업자의 분포 131
    제3절 미취업자 137
    1. 구직활동 137
    2. 희망 일자리의 특성 140
    제7장 임금근로자의 특성 145
    제1절 임금근로자의 특성 146
    제2절 근로시간 149
    1. 평균근로시간 150
    2. 초과근로시간 153
    제3절 임금 154
    1. 임금지급주기 및 임금산정방식 154
    2. 월평균 임금 157
    제4절 노동조합 163
    제5절 비정규직 근로자 164
    1. 비정규직의 규모 165
    2.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167
    제8장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168
    제1절 종사상 지위 169
    제2절 근로시간 171
    1. 근로시간의 규칙성과 주평균 근로일수 171
    2. 주당근로시간 173
    제3절 근로소득 176
    제4절 사업체의 창업 179
    제9장 생활·직무 만족도 및 조직 몰입, 건강과 생활 181
    제1절 생활 만족도 182
    제2절 직무 만족도 및 불일치도, 조직몰입 187
    1. 직무 만족도 187
    2. 직무불일치와 기술(기능)의 유용성 192
    3.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 195
    제3절 생활과 건강 198
    제10장 근로시간과 여가 부가조사 203
    제1절 근로시간 204
    1. 근무시간의 결정 204
    2. 근로의 준비, 대기, 휴식시간 208
    3. 휴무와 휴가 209
    4. 일상에서의 시간 배분 212
    5. 법정근로시간 단축 218
  • 요약
    본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7차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한국 노동패널조사는 기존의 조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노동시장에 관한 미시자료를 패널로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노동시장의 정태적 인 측면뿐 아니라 동태적인 측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조사는 1998년에 처음 실시된 이후 매년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04년 의 제7차 및 2005년의 제8차 조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상태이고 2006년 현재 제9차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데이터 클리닝 (data cleaning)을 마친 제7차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1~6차 조사 결과와도 비교하고 있다. 한국노동패널조사는 1998년 제1차 조사에서 5,000가구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들 표본가구와 이들 가구를 구성하는 13,321명의 가구원을 대 상으로 조사를 시작하였다. 패널조사의 성패는 일차적으로 최초 추출된 표본을 이후 조사에서도 얼마나 많이 조사하는가에 달려 있다. 한국노동패널조사 는 지난 제6차 조사에서 유효 원표본가구의 77.2%를 조사하는 데에 성공하여 패널조사로서 생명력을 잘 유지해 왔다. 이번 제7차 조사에서 유 효 원표본가구 유지율은 77.3%로서 지난 조사에 이어 표본유지율이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성과는 미국의 PSID나 영국의 BHPS 등 외국의 유수한 패널조사보다 더 우수한 성과로 KLIPS의 장기 전망을 밝게 한다. KLIPS는 이러한 양적인 성과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조사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상의 어려움을 직접 극복하기 위한 노력 을 더욱 강화하는가 하면 데이터 클리닝을 더욱 철저히 하고, 학술대회를 통한 추가적인 자료 검증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단계에 걸친 강화 된 검증 과정을 통해 KLIPS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에도 자료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제6회 학술대회에서는 특별분과(special session)를 마련하 여 패널자료 분석 방법론에 대한 강연을 실시하였다. 이는 패널자료에 들어 있는 정보를 보다 풍부하고 엄밀하게 활용하는 데에 도움을 주어 KLIPS의 활용을 제고함과 함께 KLIPS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 가운데 하나로 작용할 것이다.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를 마련하여 KLIPS 사용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 FAQ는 노동패널 자료의 사용과 관련하여 노동패널팀에 접수되는 질문들 가운데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질문들을 29개로 추려 이에 대한 답변을 작성한 것이다. 이를 사용자 지침(users guide)에 추가하여 책자를 발간하였고, 홈페이지에 올려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더하여 FAQ에는 답변 내용을 SAS와 SPSS로 작성한 프로그램도 함께 제시되어 있다. 우리는 앞으로도 FAQ의 문항을 더욱 늘려 보다 다양하고 자세 한 사항들에 대해서도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과 성과들에 안주하지 않고 우리는 KLIPS의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 KLIPS는 개방성(openness)을 지향하고 있 다. 노동패널 자료 사용자들의 망설임 없는 문제제기가 KLIPS의 발전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자료 사용자 여러분의 질책과 함께 성원을 기대한 다.
공공누리 마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발간물 보호 저작물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재량 님의 다른 보고서 : 36 건
연구보고서 게시판
번호 서명 저자 출판일 원문
36 전일제 환산 고용지표에 관한 연구 남재량, 이철인, 최형재 2022.11.30 전일제 환산 고용지표에 관한 연구 바로보기
35 주된 일자리 중고령층 노동시장 연구 남재량, 김선빈, 장용성, 한종석 2021.12.30 주된 일자리 중고령층 노동시장 연구 바로보기
34 중고령층 노동시장의 특성 변화와 정책과제 남재량, 김동배 2020.12.30 중고령층 노동시장의 특성 변화와 정책과제 바로보기
33 2018년 근로시간 단축법 시행의 고용효과 연구 남재량 2020.12.30 2018년 근로시간 단축법 시행의 고용효과 연구 바로보기
32 고령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고용시스템의 모색 남재량,김주섭,박우성 2019.12.30 고령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고용시스템의 모색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