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7차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한국
노동패널조사는 기존의 조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노동시장에 관한 미시자료를 패널로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노동시장의 정태적
인 측면뿐 아니라 동태적인 측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조사는 1998년에 처음 실시된 이후 매년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04년
의 제7차 및 2005년의 제8차 조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상태이고 2006년 현재 제9차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데이터 클리닝
(data cleaning)을 마친 제7차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1~6차 조사 결과와도 비교하고 있다.
한국노동패널조사는 1998년 제1차 조사에서 5,000가구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들 표본가구와 이들 가구를 구성하는 13,321명의 가구원을 대
상으로 조사를 시작하였다. 패널조사의 성패는 일차적으로 최초 추출된 표본을 이후 조사에서도 얼마나 많이 조사하는가에 달려 있다. 한국노동패널조사
는 지난 제6차 조사에서 유효 원표본가구의 77.2%를 조사하는 데에 성공하여 패널조사로서 생명력을 잘 유지해 왔다. 이번 제7차 조사에서 유
효 원표본가구 유지율은 77.3%로서 지난 조사에 이어 표본유지율이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성과는 미국의 PSID나 영국의 BHPS 등 외국의
유수한 패널조사보다 더 우수한 성과로 KLIPS의 장기 전망을 밝게 한다.
KLIPS는 이러한 양적인 성과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조사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상의 어려움을 직접 극복하기 위한 노력
을 더욱 강화하는가 하면 데이터 클리닝을 더욱 철저히 하고, 학술대회를 통한 추가적인 자료 검증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단계에 걸친 강화
된 검증 과정을 통해 KLIPS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에도 자료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제6회 학술대회에서는 특별분과(special session)를 마련하
여 패널자료 분석 방법론에 대한 강연을 실시하였다. 이는 패널자료에 들어 있는 정보를 보다 풍부하고 엄밀하게 활용하는 데에 도움을 주어
KLIPS의 활용을 제고함과 함께 KLIPS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 가운데 하나로 작용할 것이다.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를 마련하여 KLIPS 사용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 FAQ는 노동패널
자료의 사용과 관련하여 노동패널팀에 접수되는 질문들 가운데 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질문들을 29개로 추려 이에 대한 답변을 작성한 것이다. 이를
사용자 지침(users guide)에 추가하여 책자를 발간하였고, 홈페이지에 올려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더하여
FAQ에는 답변 내용을 SAS와 SPSS로 작성한 프로그램도 함께 제시되어 있다. 우리는 앞으로도 FAQ의 문항을 더욱 늘려 보다 다양하고 자세
한 사항들에 대해서도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과 성과들에 안주하지 않고 우리는 KLIPS의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 KLIPS는 개방성(openness)을 지향하고 있
다. 노동패널 자료 사용자들의 망설임 없는 문제제기가 KLIPS의 발전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자료 사용자 여러분의 질책과 함께 성원을 기대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