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기반경제와 노동시장
- 고용구조의 변화, 숙련구조의 변화, 정보화에 따른 고용구조의 변화 야기
- 한국의 노동시장은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하는 데 필요한 상당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
- 한국의 향후 노동시장의 변화: 고용흡수력의 둔화, 전문기술직종의 증가, 지식집약산업의 고용비중 증가, 기업조직의 변화 및 고용형태 다양
화,
○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증가, 정보기술인력 급증
- 문제점과 과제: 숙련 불일치에 따른 문제 발생, 실업의 증가 가능성, 소득격차 확대 가능성, 정보기술 인력양성 필요성, 평생학습사회 구축
의 중요성
○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훈련제도의 개혁
- 창의적인 인적자원의 양성과 개발은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지식흡수능력의 배양과 함께 자립적인 경제활동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적극적 복
지의 의의를 지님
- 직업훈련 개혁방안: 열린직업훈련을 통해 평생학습사회를 구축할 것을 요구
- 주요 정책과제: 지식의 흡수능력 배양, 지식격차의 해소를 위한 과제, 지식의 인정·보상체계 구축을 위한 과제, 참여적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과제
○ 지식자본의 측정과 보고제도의 도입
- 의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을 마련하는 사회적 인프라로서 인적자원개발의 효율화, 생산적 복지 및 능력개발을 촉진, 교육·훈련과 직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함
- 우리 나라의 도입 준비 정도와 환경: 지적 자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율은 높으나, 대외적 인정이나 가치측정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은 미
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