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강신혁 사진
강신혁 동향분석실장

부서 동향분석실

담당업무 동향분석실 총괄

전공분야 노동경제.거시경제

주요 학력

  • 2019.06 박사 (경제학): Indiana University
    2013.06 석사 (경제학): 연세대학교
    2011.02 학사 (수학, 경제학): 성균관대학교

주요 경력

  • 2019.07 ~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연구위원
    2013.08 ~ 2019.05: Associate Instructor at Indiana University

주요 논문 및 저서

  • Personal website: https://shinkangecon.github.io/

    <Working Paper>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Substitutability and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Revise and Resubmit at Korean Economic Review)
    "Cyclical Dynamics of Shopping: Aggregate Implications on Labor and Product
    Markets" (Reject and Resubmit at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What can explain the hump-shaped job search intensities over the life-cycle?"  
    (Revise and Resubmit at Macroeconomic Dynamics)

    <Publications (including accepted)>
    "Endogenous Uncertainty and Monetary Policy" with Kwangyong Park (Macroeconomic
    Dynamics, forthcoming)

    <연구과제>
    - 청년과 중고령 세대 간 고용대체 관계 연구(2022, with 김세움(연구책임자), 윤윤규)
    - 노동시장 탐색 마찰과 인적자본축적 동학(2022)
    -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 간 관계(2022, 노동리뷰 8월호>
    - 코로나19 위기 시 고용유지지원제도의 고용효과(2021, with 김유빈(연구책임자), 김도형, 김지운, 우석진, 최광성, 최충)
    -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고용에 미친 영향 - 노동시장 전반에 미친 영향 및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2021, with 장인성(연구책임
    자), 김세움, 윤준현, 길은선, 차경수, 한치록, 황선웅)
    - 조세 및 사회보험제도가 고용형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2021, with 김문정, 안종석, 홍민기)
    - 출산의 소득탄력성-미시적 이론과 거시적 결과(2021 with 김선빈, 홍재화, 오준석)
    - 생애주기 구직노력과 소득 위험(2020)
    -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추진의 고용영향 분석: 의약품 제조업을 중심으로(2020 with 오선정, 김대중)
    -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청년 일자리(Ⅱ) (2020 with 안주엽(연구책임자), 오선정)
    - 규모 간 임금격차 변화 원인과 정책방향(2020 with 성재민(연구책임자), 방형준)
    - 청년층 일자리 현황과 변화 전망(2020 with 김유빈(연구책임자), 김영아)
    - 40대 고용실태 조사 연구(2020 with 허재준(연구책임자))
    - 노동시장 불평등 현황과 대책(2020 with 윤윤규(연구책임자), 장인성, 최세림, 김현경, 이아영, 김예슬, 김유선, 윤정향, 김용하,
    김동배)

    <외부연구용역 과제>
    - 인구집단별 취업자 1인당 근로시간 장기전망 연구(2022,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용역. with 김지운(연구책임자))
    - 인구집단별 실질임금 장기전망 방법론 연구(2021,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용역. with 김지운(연구책임자))

    <Publication>
    구조모형을 통해 살펴본 고용유지지원제도가 고용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경제포럼, 제15권 3호(p.87-116)
    의약품제조업 R&D 투자 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업체 특성별 효과(with 오선정), 한국정책학회보, 제30권 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