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강동우 사진
강동우 실장

부서 지역고용연구실

담당업무 지역고용연구실 총괄

팩스번호 044-287-6797

주요 학력

  • - 지리학박사,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지리 및 개발학과, 2015년 8월
    - 경제학석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2011년 8월
    - 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2005년 2월

주요 경력

  • - 지역고용연구실장, 한국노동연구원, 2019년 2월 - 현재
    - 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2020년 1월 - 현재
    - 부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2015년 8월 - 2019년 12월
    - RA, Regional Economics And Spatial Modeling laboratory (REASM), University of
    Arizona, 2012년 - 2015년
    - RA, Brain Korea 21 범국가 및 지역분석전문가 인력양성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2008년 - 2011년
    - TA, (GEOG305, Economic Geography), School of Geogrpahy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Arizona, 2011년 가을학기
    - TA, (대학원, 공간계량경제모형응용),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2010년 가을학기

주요 논문 및 저서

  • - Website
    https://sites.google.com/site/dwkang1982

    - 박사학위논문
    Essays on Spatial Externality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Applied Spatial
    Econometrics, 2015, University of Arizona.

    - 학술논문(최근 5년)
    [16] Koangsung Choi, Chung Choe, Dongwoo Kang,  2020, "Impact of introducing
    one-stop employment service centres on local employment in South Korea",
    Applied Economics Letters, forthcoming,
    https://doi.org/10.1080/13504851.2020.1752358
    [15] 이희선, 강동우, 최충, 2020. 6, “조선업 위기가 지역상권 고용에 미친 영향: 거제시와 통영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8(2): 119-154.
    [14] 강동우, 안주엽, 남수연, 2020. 3, “지역 특성이 주민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 국토연구, 104: 3-21.
    [13] 최광성, 강동우, 최충, 2018. 6, "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41(2): 61-88.
    [12] Dongwoo Kang and Sandy Dall’erba, 2016. 10, “An Examination of the Role of
    Local and Distant Knowledge Spillovers on the US Regional Knowledge Creation”,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39(4): 355-385.
    [11] Dongwoo Kang and Sandy Dall’erba, 2016. 4, “Exploring the spatially
    varying innovation capacity of the US counties in the framework of Griliches'
    knowledge production function: a Mixed GWR approach”,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8(2): 125-157.


    - 연구보고서(최근 5년)
    [23] 강동우, 김관수, 김의준, 이준영, 최동욱, 2019, “소비행태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한
    국노동연구원.
    [22] 손연정, 강동우, 정성미, 2019 “소비 불평등의 현황과 원인”, 한국노동연구원.
    [21] 안주엽, 강동우, 2019 “지역 및 산업 간 노동이동: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 강동우, 최충, 전은하, 2019 “산업구조 조정에 따른 지역고용 충격과 이에 대응하는 지역고용정책 방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9] 강동우, 고영우, 우종원, 윤문희, 2018, “순천시 청년 노동시장 기초 분석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8] 성재민, 오상봉, 강동우, 2018, “자영업 분석 인프라 구축 및 자영업의 동태적 변화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7] 김유빈, 강동우, 오선정, 유동훈, 이지은, 2018, “청년 삶의 질 제고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6] 윤윤규, 강동우, 유동훈, 2018, “고용위기지역 산업의 일자리 이동 지도 구축 기초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5] 강동우, 고영우, 김현지, 남수연, 전은하, 2018, “인구구조 변화 및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지역고용정책 사례 연구”, 한국노동연구
    원.
    [14] 구형수, 배유진, 윤세진, 강동우, 조성호, 2018,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국가적 대응전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3] 성재민, 강동우, 오상봉, 이승렬, 이상호, 2018, “통계생산용 DB 구축대상 선정 연구(고용∙노동 분야)”, 통계청.
    [12] 신윤정, 양미선, 최혜리, 이창원, 최서리, 김철효, 이탁건, 권영실, 박미화, 이상지, 이규용, 강동우, 김이선, 최윤정, 주수인,
    Li Hua, Nguyen Thi Thm, Maruja M.B. Asis, Sachi Takahata, Hong-Zen Wang, 장은숙,
    2018, “인구 변화 대응을 위한 포용적 다문화 정책 방안: 이주 배경 아동의 발생∙성장 환경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1] 안주엽, 이경희, 오선정, 강동우, 김주영, 정세은, 손호성, 박진, 이선연, Andrew Clark, Garry F.
    Barrett, Fumio Otake, Kadir Atalay, 2017, “일과 행복(Ⅲ)”, 한국노동연구원.
    [10] 윤윤규, 김유빈, 오선정, 강동우, 김세움, 2017, “청년 고용·노동시장의 현황, 문제점 및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09] 강동우, 고영우, 최충, 2017, “대졸자 직장이동의 지리적 특성과 임금효과”, 한국노동연구원.
    [08] 배규식, 강동우, 고영우, 금재호, 이종수, 조임숙, 김용기, 문정혜, 2017, “관광·콘텐츠 분야 일자리 창출 Action
    Plan 수립 연구”, 부산광역시·고용노동부 부산지방고용노동청.
    [07] 이규용, 강동우, 고영우, 김유빈, 배규식, 신현구, 안주엽, 오상봉, 오상훈, 오선정, 우종원, 2017, “제주특별자치도 고용정책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06] 강동우, 최충, 이재용, 2016, “글로벌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한국
    노동연구원.
    [05] 이규용, 강동우, 고영우, 전인, 2016, “청년층 지역 노동시장 구조와 일자리 창출 방안: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04] 강동우, 2016, “지역일자리 지표 DB 개발 및 구축방안 연구: 청년고용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03] 강동우, 2016,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고용”, 한국노동연구원.
    [02] 이승렬, 이해춘, 박찬임, 강병식, 강동우, 201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사고성재해예방 사업 평가”, 고용노동부.
    [01] 윤윤규, 강동우, 최충, 이덕재, 2015, “고용복지+센터의 일자리 창출효과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
    ∙한국노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