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강동우 사진
강동우 선임연구위원

부서 고용정책연구본부

담당업무 지역고용연구

전공분야 경제지리, 지역경제

팩스번호 044-287-6797

주요 학력

  • - 지리학박사,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지리 및 개발학과, 2015년 8월
    - 경제학석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2011년 8월
    - 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2005년 2월

주요 경력

  • - 선임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2024. 1 - 현재
    - 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2020. 1 - 2023. 12 (육아휴직: 2022. 3 - 2023. 2)
    - 부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2015. 8 - 2019. 12

    - 기획조정실장, 한국노동연구원, 2021. 2 - 2022. 2
    - 지역고용연구실장, 한국노동연구원, 2019.2 - 2022.2

    - RA, Regional Economics And Spatial Modeling laboratory (REASM), University of
    Arizona, 2012년 - 2015년
    - RA, Brain Korea 21 범국가 및 지역분석전문가 인력양성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2008년 - 2011년
    - TA, (GEOG305, Economic Geography), School of Geogrpahy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Arizona, 2011년 가을학기
    - TA, (대학원, 공간계량경제모형응용),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2010년 가을학기

주요 논문 및 저서

  • - Website
    https://sites.google.com/site/dwkang1982

    - 학술논문(최근 5년)
    [18] Chung Choe, Dongwoo Kang, Heesun Lee, 2024. 4, " The impact of e-commerce
    on local retail employment: examining heterogeneous impacts by employment and
    regional types", Global Economic Review, 53(2): 99–115.
    [17] Orsa Kekezi, Sandy Dall’erba, Dongwoo Kang, 2022, "The role of
    interregional and inter-sectoral knowledge spillovers on regional knowledge
    creation across US metropolitan counties", Spatial Economic Analysis, 17(3):
    291-310.
    [16] Koangsung Choi, Chung Choe, Dongwoo Kang,  2021, "Impact of introducing
    one-stop employment service centres on local employment in South Korea",
    Applied Economics Letters, 28(4): 281-286.
    [15] 이희선, 강동우, 최충, 2020. 6, “조선업 위기가 지역상권 고용에 미친 영향: 거제시와 통영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8(2): 119-154.
    [14] 강동우, 안주엽, 남수연, 2020. 3, “지역 특성이 주민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 국토연구, 104: 3-21.

    - 정책연구보고서(최근 5년)
    [34] 강동우, 정광민, 최충, 류광훈, 2023, “스마트관광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33] 손연정, 강동우, 홍민기, 2023, “통근시간의 변화와 노동시장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32] 강동우, 노세리, 진성진 외, 2023, “고용상태 영향조사”, 고용노동부. (화력발전 부문: 강동우, 이승렬, 한재각, 박선아)
    [31] 김태완, 임완섭, 김기태 외, 2023, “한국사회 격차현상 진단과 대응전략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3-56-0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30] 강동우, 박창근, 박지영, 이용빈, 조동인, 2022,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산업 고용영향 분석을 위한 모형 개발 기초연
    구”, 한국노동연구원.
    [29] 강동우, 최충, 2021,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도입의 지역경제 영향과 정책 시사점: 지역고용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8] 박종서 외, 2020,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 마련 지원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여정정책연구
    원.
    [27] 강동우, 윤미례, 2020, “조선업 노동이동 통계: 고용위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6] 강동우, 고영우, 최충, 최동욱, 2020, “온라인 쇼핑 확대가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 소매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5] 이규용, 이철희, 강동우, 주수인, 박미화, 2020, “외국인 취업자 노동시장 영향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4] 이두희 외 2020, “미래예견적 국정관리지원: 지역산업부문 모델링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3] 강동우, 김관수, 김의준, 이준영, 최동욱, 2019, “소비행태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한
    국노동연구원.
    [22] 손연정, 강동우, 정성미, 2019 “소비 불평등의 현황과 원인”, 한국노동연구원.
    [21] 안주엽, 강동우, 2019 “지역 및 산업 간 노동이동: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 강동우, 최충, 전은하, 2019 “산업구조 조정에 따른 지역고용 충격과 이에 대응하는 지역고용정책 방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 정책브리프(최근 5년)
    [13] 강동우, 2024, “자녀가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통근 변화: 코로나19 영향과 성별 차이”, 월간 노동리뷰 2024년 7월호, 통권
    제232호: 23-32, 한국노동연구원.
    [12] 강동우, 2023, “일자리 분포의 지역격차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2023년 11월호, 통권 제
    224호: 7-22, 한국노동연구원.
    [11] 강동우, 2021, “온라인 쇼핑 확대와 소매업 구조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21년 2월호, 통권 제191호: 7-19, 한국노동연
    구원.
    [10] 강동우, 2021, “온라인 쇼핑 확대와 소매업 구조 및 고용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21년 2월호, 통권 제191호: 3-4, 한
    국노동연구원.
    [09] 강동우, 2020, “조선업 구조조정 이후 지역고용 변화와 지역 산업구조 간 관계 탐색”, 월간 노동리뷰 2020년 6월호, 통권 제
    183호: 87-98, 한국노동연구원.
    [08] 강동우, 2020, “소비행태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KLI 고용영향평가브리프 2020년 제4호(통권 제12호), 한국노동연구
    원.
    [07] 강동우, 2019, “지방소멸 위험과 지역고용의 상관관계 분석”, 월간 노동리뷰 2019년 5월호, 통권 제170호: 30-39, 한국
    노동연구원.
    [06] 유동훈, 강동우, 2019, “고용보험DB를 통해 살펴본 통영∙군산 조선업 종사자의 일자리 이동”, 월간 노동리뷰 2019년 5월호,
    통권 제170호: 7-19, 한국노동연구원.
    [05] 강동우, 2019, “청년층 지역이동의 특징과 지역 특성의 영향”, 월간 노동리뷰 2019년 2월호, 통권 제167호: 47-60, 한
    국노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