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장홍근 사진
장홍근 선임연구위원

부서 노사관계연구본부

담당업무 연구

전공분야 노사관계, 고용노동정책

팩스번호 044-287-6797

주요 학력

  • 1989.3-1999.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
    1985.3-1987.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1981.3-1985.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주요 경력

  • 2008. 2 -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선임연구위원
    2021. 6 - 현재       고용노동부 기타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회 위원
    2021. 2 - 2022. 7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수석전문위원
    2019. 2 - 2021. 1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연구본부장
    2015. 8 - 2018. 1   노사관계최고지도자과정 주임교수
    2015. 7 - 2016. 2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연구본부장
    2013. 7 - 2015. 6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수석전문위원
    2011. 2 - 2012. 1   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선진화위원회 위원
    2011. 7 - 2012. 6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분석실장
    2011. 8 - 2014. 7   대한민국명장 심사위원회 위원
    2008. 7 - 2012. 6   고용노동부 고용노동정책평가위원회 위원
    2008. 7 - 현재        한국노사관계학회 상임이사, 부회장
    2007. 4 - 2008. 5   노사정위원회 고용보험제도발전위원회 위원
    2001. 1 - 2008.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1999. 2 - 2000.12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시장평가센터 고용안정팀장
    1992. 9 - 1998.10  현대사회연구소 선임연구원
    1989. 9 - 1992. 8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조교

주요 논문 및 저서

  • - "An Analysis on the trajectory of Social Dialogue in Korea: A Tentative Study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노동연구』. 43집(2021.12). pp.173-210.
    - "노동의 미래와 노동권 보장" 『지속가능한 공정경제』 (이한주 외 공저, 2021.8). 시공사.
    - "'1987 노동체제'에 대한 이해와 대안 모델의 탐색", 『노동연구』. 40집(2020. 6). pp.87-133.
    - "30 Years after 1987, the Dynamism of Labor Regime and Social Dialogue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18th International Labor and Employment Relations
    Association World Congress (2018. 7. 25).
    - "Social dialogue at a crossroads" in Young-Myon Lee and Bruce E. Kaufman
    eds. (2018), The Evolution of Korean Industrial and Employment Relations. Elgar.
    - "1987 노동체제의 변화와 대안 모델의 모색", 2017년 사회정책연합학술대회 발표논문(2017. 10. 13).
    - "1987 노동체제 하의 노동정치에 대한 소고-중앙 사회적 대화를 중심으로" 2017년 한국산업노동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2017. 10. 27).
    - "1987 노동체제의 동학과 사회적 대화의 전개", 한국노동연구원 개원29주년 기념세미나 발표논문(2017. 9. 21)
    - "일자리 정부의 사회적 대화 전략, 어떻게 재구축할 것인가?"  (재)더미래연구소 기획 세미나 발표논문(2017. 9. 21)
    - "한국형 사회적 대화체제의 새로운 디자인: '포스트 87년 노동체제'를 향한 여정의 새출발", 『노동리뷰』. 2017년 8월호(공저).
    - "1987 노동체제의 동학과 사회적 대화의 전개", 『노동리뷰』. 2017년 7월호.
    - "대전환기, 새로운 사회적 대화 체제의 구상", 『노동리뷰』. 2017년 4월호.
    - "노동체제 전환기의 사회적 대화 발전 방안" 『노사공포럼』. 통권40호(2016년 제4호)
    - "근로감독관의 업무특성과 직무성과" 『산업노동연구』. 제22권 3호(2016년 10월)(공저).
    - "한국에서 사회적 대화의 가능성과 한계: 9.15 노사정 합의의 노동정치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16년 노동3대학회 공동정책토론회 발표
    논문(2016. 4. 28)
    - "The September 15 Tripartite Agreement on Structural Reforms of the Labor
    Market and Prospects for the Labor Regime in Korea", KEI (2016). On Korea:
    Academic Paper Series, pp.24-40.
    (Rev. from a Paper presented at a Seminar of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Jan. 21, 2016, Washinton D.C.)
    - "일터혁신, 현황과 정책적 함의", 『노동리뷰』. 2013년 2월호.
    - "훈련의 권리, 시장의 늪-실업자훈련의 시장주의적 재편에 대한 소고", 『노동정책연구』. 제12권 4호(2012. 12).
    pp.45-76(공저).
    - "공연․무대예술인의 예술활동경력 및 증빙 실태와 함의". 『노동리뷰』. 2012년 7월호.
    - “직업위세에 대한 인식의 국제비교”.『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 제 7권 1호(2012. 6)
    - "사회적기업 인적자원개발의 실태와 과제” 『노동리뷰』. 2012년 2월호.
    - "일자리대책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와 개선 과제- 지자체의 인식과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지역고용연구』. 제3권 1호(2011.3).
    - "직업훈련사업 평가: 실업자 훈련 부문” 『노동리뷰』. 2011년 9월호.
    - "대기업 고용책임 확대론의 탐색” 『노동리뷰』. 2011년 4월호.
    - “사회적 대화, 재도약의 발판에 설 것인가?” 『노동리뷰』. 2011년 1월호..
    - “포스코의  직무훈련체계와 OJT” 『노동리뷰』. 2010년 9월호.
    - “근로시간면제제도에  대한 노사관계자의 인식과 함의”.  한국노사관계학회 하계정기학술대회(2010.6.22).
    - "지역노사민정  협력사업과 함의에 대한 시론적 고찰" 중앙노동위원회 『조정과 심판』"(2010.2).
    - “한국 대학생의 경제 및 직업가치관과 직업윤리”. 『인간연구』(2009. 봄호).
    - "The Reform of the TVET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an Aging
    Society".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 for the Changing World of Work. Vol.5.
    pp.2431-2444. Springer. (2009).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n the Occupational Prestige", 7th Asia HRD
    International Conference (2008.11)
    - "필수유지업무제도 도입과 쟁점" ",『노동리뷰』 2008년 11월호
    - "한국 성인취업자의 자기평가 직업윤리 수준과 영향 요인",『고용과 직업연구』 제2권 제1호(2008.5)
    - "직업구조와 직업선호의 변화",『본질과 현상』 2007년 3월
    - "한국전자산업에서의 스킬과 학습",『직업능력개발연구』 9권 2호(2006.12)
    - "작업조직과 숙련형성에 관한 실증 분석-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24권 2호(2005.8)
    - "테일러주의와 작업장의 현실", 『신뢰연구』 14권 2호(2004)
    - "Analytical Evaluation on the SMEs Vocational Training Consortium of Korea",
    APEC Int'l Symposium on HRD(2004. 5).
    -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HRD Partnership", UNESCO Int'l Seminar on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Knowledge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2004.
    9).
    - "공공양성훈련의 취업효과와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6권 2호(2003)
    - "제조업생산직 근로자의 근로생활의 질", 『직업과 인력개발』 6권 6호(2003)
    - "전직 실업자의 구직행태, 임금유보성향 및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5권 2호(2002)
    - "학교-직업세계 이행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의 참여와 과제", 『직업교육연구』 21권 2호(2002)
    - "비정규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의 현황과 과제", 『노동정책연구』 2001년 가을호
    - "한국 벤처기업의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동향과 전망』 2001년 가을호
    - "한국노동체제의 전환과정에 관한 연구, 1987-1997",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문(1999)
    - "데이비스의 가설을 통해 본 1997년 한국의 노동자 총파업", 한국사회학회 1997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1997.6)
    - "단체행동에 대한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태도와 결정요인", 『현대사회』 1996년 봄/여름호(제 14권 제 1호)

    -『일터혁신과 근로자의 참여 및 역량』(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20.12).
    -『일터혁신의 이론 및 실천에 관한 기초연구』(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9.12).
    -『시민권 기반 직업능력개발체제 구축』(공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8.12).

    -『1987년 이후 30년-새로운 노동체제의 탐색-』(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7.12).
    -『2017년 노사관계 국민의식조사연구』(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7.12).

    -『대안적 노동체제의 탐색 - 1987년 이후 30년, 한국 노동체제의 구조와 동학-』(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6.12).
    -『노사협의회 운영상황 실태조사』(책임, 공저). 고용노동부(2016.12).
    -『사회적 합의 이행평가 개선방안』(책임, 공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2016.12)
    -『사회적 연대와 일자리 창출』(공저). 함께일하는재단(2016.4)

    - 『근로감독관 업무개선방안 연구』(책임, 공저). 고용노동부(2015.12)
    - 『선진국 노동시장 개혁사례 연구-개혁 과정관리를 중심으로-』(책임, 공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2015.12)

    -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노사의 역할과 과제』(공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14. 12)
    - 『사회서비스 부문 숙련공간의 탐색-사회복지, 요양, 보육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4.9)
    - 『고용위기시대, 사회적 대화의 전략적 모색』(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4.8)

    - 『2013년도 지역노사민정 협력 활성화 추진실적 평가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책임,공저). 한국노동연구원/고용노동부(2013. 12)
    - 『협동사회와 일자리 창출』(공저). 함께일하는재단 정책연구원(2013. 9)

    - 『일터혁신 지원사업의 평가와 발전방안』(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2.12)
    - 『중앙행정기관 무기계약 및 기간제 근로자 관리방안』(책임, 공저). 행정안전부(2012.12)
    - 『대기업 고용책임의 확대 방안 연구』(책임,공저). 한국노동연구원. (2012. 6)
    - 『예술인 경력증명 방안 연구-공연 무대예술인을 중심으로-』(책임, 공저). 문화체육관광부(2012.5)
    - 『일자리 나누기(워크쉐어링) 모형개발 연구』(책임,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2012.4)

    - 『사회적 기업과 인적자원 전략』(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1. 12)
    - 『영국의 서비스분야 자격제도 및 자격종목 조사연구』(공동, 공저).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산업인력공단(2011.10).
    - 『선진국의 외국인 직업훈련제도와 정책적 함의 연구』(책임, 단독). 고려대 산학협력단(2011. 10)
    - 『2010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보고서 일자리창출 교육 및 훈련사업군-실업자 훈련사업 부문 평가-』. KDI/․한국노동연구원(2011.6).
    - 『경제사회 변동과 공동체 패러다임』(공저). (재)함께일하는재단(2011).

    - 『지역고용 노사정파트너십의 실태와 발전방안』(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0. 12)
    - 『일자리사업 전달체계의 현황 및 평가』(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0. 11)
    - 『노동시장과 자격제도 형성의 관계성 분석』(공동). 한국산업인력공단(2010. 11)
    - 『한국과 일본의 OJT 비교연구』(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10)

    - 『2009년도 지역노사민정 협력 활성화 추진실적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책임, 공저). 노동부(2009)
    - 『21세기 기능장려사업 선진화를 위한 기능장려법 개정 방안 연구』(책임, 공저). 한국산업인력공단(2009. 07)
    - 『산업인력수요와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인력양성구조 분석』(책임, 공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09)
    - 『지역별 인력 및 훈련수요조사』(공저). 노동부(2009.09)
    - 『숙련개발체제와 노사관계』(책임, 공저). 한국노동연구원(2009.08)

    - 『지역단위 노사관계 평가지표 연구-지역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를 중심으로-』(책임, 공저). 노동부(2008.12 )
    - 『2008년도 노사관계 실태분석 및 평가-전력, 가스 산업』(책임, 공저). 노동부. (2008. 12.)
    - 『중소기업훈련컨소시엄 운영기관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2008).
    - 『한국사회의 쟁점과 전망-신자유주의 극복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공저). 박영률출판사(2008.5.30)

    -『사회적 기업, 새로운 세계』(공저). 실업극복국민재단 함께 일하는 사회(2007).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2007)-국제비교의 맥락에서 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12)
    -『고용보험사업 심층평가-직업능력개발 부문-』.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12)
    -『공공훈련기관의 역할재정립 및 훈련전달체계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12)
    -『직업훈련기관 평가사업-우선선정직종훈련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12)
    -『인적자원개발 사회협약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12)
    -『비정규직의 직업능력개발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6.11)
    -『BK21사업 참여자의 노동시장 이행 및 성과분석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6.11)
    -『HRD 중심의 새로운 사회정책 패러다임』,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6.12)
    -『인적자원입국의 비전과 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12)
    -『BK21사업 지원인력의 진로실태 조사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 4).
    -『취약계층의 직업능력개발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12).
    -『유비쿼터스 사회의 노동과 학습』.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12)
    -『작업조직과 숙련형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4.11).
    -『전환기의 직업훈련체제 재정립』.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3)
    -『기능인력의 근로조건 및 노동과정 실태와 근로생활의 질(QWL)향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3)
    -『중소기업직업훈련컨소시엄 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3)
    -『직업훈련서비스 시장개방에 대비한 대응방안 모색 : WTO 서비스 협상과 관련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3)
    -『노사정위원회 평가 및 발전방안연구』, 노사정위원회(2003).
    -『기능장려정책의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중소기업 직업훈련컨소시엄 시범 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청년층 취업능력제고를 위한 학교와 노동시장의 연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직업전문학교 수료생의 취업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직업훈련수요 조사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대학․전문대학 졸업생 취업실태 조사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
    -『비정규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대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
    -『노동정책의 유럽적 대안』(피터아우워 지음, 장홍근 강병구 신정완 유완식 옮김). 한국노동연구원(2000.10).
    -『취업지원업무 관련기관간 공조강화방안』, 노동부(2000)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취업알선․직업상담 실태와 효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2000)
    -『작업장 노사관계의 혁신모델 연구』, 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