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윤윤규 사진
윤윤규 선임연구위원

부서 고용정책연구본부

담당업무 고용정책

전공분야 노동경제, 고용영향평가

팩스번호 044-287-6797

주요 학력

  • ∙ 1997 - 2001 Cornell University 노동경제학과(박사)
    ∙ 1995 - 1997 Cornell University 노동경제학과(석사)
    ∙ 1979 - 1985 서울대학교 경제학과(학사)

주요 경력

  • ∙2017.03~현재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정책연구본부장
    ∙2013.05~2015.12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센터 소장
    ∙2006.03~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1.06~2013.04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통계연구실장
    ∙2008.02~2010.12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실장
    ∙2003.12 - 2004.1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2003.06 - 2004.06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사・평가T/F 전문위원
    ∙2003.04 - 2004.05  대통령자문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NIS전문위원회 전문위원
    ∙2003.01 - 2003.03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자문위원
    ∙2001.03 - 2006.03  한국개발연구원(KDI) 전문연구원
    ∙1986.01 - 1995.06  한국개발연구원(KDI) 주임연구원

주요 논문 및 저서

  • 「일자리창출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KLI), 2012(공동).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 2010」, 한국노동연구원, 2012(공동).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2(공동).
    「WPS를 활용한 사업체의 동학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2(공동).
    「경남지역 고용실태 조사ㆍ분석 연구용역」, 경남도청 정책용역, 2012(공동).
    「지식재산 고용창출효과 분석과 정책방향」, 지식재산위원회 정책용역, 2012(공동).
    「일자리사업 전달체계 및 평가체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1(공동).
    「노동시장정책 평가방법론 및 다부문거시산업모형 DB 구축」, 한국노동연구원, 2011(공동).
    「재정을 통한 일자리지원사업 종합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1(공동).
    「녹색성장 정책추진에 따른 일자리창출 성과 측정 및 효과 예측」, KDI(기재부/녹색성장위원회) 정책용역, 2011(공동).
    「일자리창출 교육 및 훈련사업군 심층평가」, KDI(기재부) 정책용역, 2011(공동).
    「사회적 기업과 인적자원전략」, 한국노동연구원, 2011(공동).
    「정부지원 기술개발과제 참여가 고용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술혁신연구, 제 19권 제1호,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6.
    「지난 30년간 한국 제조업의 노동투입 조정패턴의 변화」, 산업관계연구, 제20권 제4호, 한국노사관계학회, 2010.12.
    「한국의 숙련구조 변화(1993-2004): 임금함수 추정을 통한 숙련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직업능력개발연구, 13권 2호, 2010.8.
    「이직사유별 일자리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노동경제논집, 제33권 제2호, 한국노동경제학회, 2010.8
    「일자리지원사업 평가와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일자리사업 전달체계 현황 및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저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경제위기와 고용」,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지역산업정책의 고용영향 분석·평가(2008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1),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중소기업지원정책의 고용효과 분석·평가(2008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3), 2010(공동).
    「고용영향 분석·평가방법론 연구(2008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6)」,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지역별 일자리변동률 통계(2008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7),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고용정책 거버넌스와 프로그램관리에 관한 해외사례(2008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8), 한국노동연구원, 2010(공동).
    「노동시장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방안: 산업구조 변화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보사연 정책용역, 2009(공동).
    「노동시장 핵심인력의 성격변화와 양성․공급체계의 대응」, 한국노동연구원, 2009(공동).
    「2008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한국노동연구원, 2008(공동).
    「노동조합과 고용조정 : 순고용 변화에 대한 제품수요충격의 효과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제31권 제2호, 한국노동경제학회, 2008.8.
    「산업정책의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8(공동).
    「산업별 노동유연성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 기업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8(공동).
    「일자리 창출과 소멸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공동).
    「노동시장 유연안정성의 산업별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공동).
    「비자발적 이직자의 일자리이행경로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공동).
    「지역고용․인적자원개발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 및 지원사업」, 노동부, 2008(공동).
    「2007 고용영향분석·평가연구시리즈」, 한국노동연구원, 2007(공동).
    「기업의 고용조정에 관한 연구: 제품수요충격과 근로자・기업특성별 순고용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7.
    「지역노동시장 연구(III) - 부산권 노동시장 및 지역협의체 분석과 정책과제-」,한국노동연구원, 2007(공동).
    「한국의 고용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공동).
    「노동시장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방안 -선진국의 경험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6.
    「혁신주도형 경제 진입을 위한 중소기업부문의 육성전략과 정책과제」, KDI, 2005(공동).
    「성장, 기술혁신 및 사회구성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KDI, 2005(공동).
    「2005~200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KDI・기획예산처(중소기업부문), 2005(공동).
    「국립대학의 구조개혁(통합) 계획에 대한 대학혁신자문팀의 분석 결과」, 교육인적자원부 2005(KDI, KEDI, SERI 공동수행).
    「Green Bio 첨단연구단지 조성사업」, KDI(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2005(공동).
    「지역산업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KDI, 2004(공동).
    「2004~2008년 국가재정운용계획」, KDI・기획예산처(지역혁신부문), 2004(공동).
    「산학협력 성과분석 및 성공사례 확산방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책용역, KDI, 2004( 공동).
    「한국의 산업경쟁력 종합연구(II)」, KDI, 2004(공동).
    「동물생명공학 연구단지 조성사업」, KDI(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2004(공동).
    「4대지역 지역산업진흥사업의 평가와 후속사업 기본방향 연구」, 산업자원부 정책연구용역, KDI, 2002(공동).
    「한국의 산업경쟁력 종합연구」, KDI, 2003(공동).
    「참여정부 산업정책의 방향과 과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3(공동).
    「독일의 과학기술정책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KDI, 2002.
    「산학연정 협력 활성화 방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용역, KDI, 2002(공동).
    「부안-고창 국도 건설사업」, KD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2002(공동).
    「중장기 지역산업 발전전략」, 산업자원부 정책연구용역, KDI, 2001(공동).
    「3개 권역(9개 시・도) 지역산업 타당성조사 총괄감리」, 산업자원부 정책연구용역, KDI, 2001(공동).
    「부산정보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사업」, KDI(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2001(공동).
    「Adjustment of Labor Inputs and Wages of Different Age Groups in Response to
    Product Demand Shocks: Large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1986-1992」, Cornell
    University(Ph.D. Dissertation), 2001. 8.
    「Changes in Job Stability in Korea, 1976~1993」, Cornell University(MS Thesis),
    1998. 1.
    「경제사회여건 변화에 따른 고용관행・제도의 변화와 전망: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KDI, 1995.
    「The Characteristics of Wage Structure and Its Changes in Korea: Analysis of
    Variance Using GLM Procedure」, KDI, 1994.
    「인적자본의 토대구축을 위한 교육체계 및 교육재정 개선방향」, KDI, 1994.
    「직업교육 훈련체제의 현황과 대책」, KDI,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