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개

고용 노동정책 연구 허브, 한국노동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직도

신현구 전문위원

부서 정책연구팀

담당업무 정책고용영향평가

팩스번호 044-287-6499

주요 학력

  •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졸업(사회학 박사)

주요 경력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주요 논문 및 저서

  • ◎ 고용영향평가
    <제주도 전기차 보급확산 정책이 지역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22.
    <문화유산산업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22.
    <녹색산업 성장의 고용효과>.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21.
    <AI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21.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의 고용효과>.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21.
    <생활SOC정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20.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 업역규제 개선의 고용효과>.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9.
    <생활안전·재난안전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활용의 고용효과>.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8.
    <일자리창출경로 분석: 포항~삼척 철도건설사업>.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8.
    <재정사업 고용효과 산출식 개선 연구: 고용서비스사업>.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8.
    <유망환경기업 육성 고용영향평가>.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7.
    <무인경비시스템 도입에 따른 고용영향평가 및 고용유지방안>.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7.
    <장년고용대책 고용영향평가 현장점검 보고서>.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5.
    <서비스산업 규제완화에 대한 고용영향평가: 외국인환자유치제도를 중심으로>.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5.
    <K-Move사업 고용영향평가 현장점검 보고서>.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5.
    <귀농귀촌 활성화사업에 대한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4.
    <시니어창업지원사업에 대한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4.
    <청년고용대책 고용영향평가 현장점검 보고서>.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4.
    <고부가 융복합 관광·레져 육성사업에 대한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3.

    ◎ 노동시장정책 및 평가
    <한국의 고용정책과 전략>. 한국고용정보원. 2019.
    <제주특별자치도 고용정책 기본계획 수립>. 제주특별자치도청. 2016.
    <고령자지원사업군 평가>.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5.
    <모‧부성휴가 요구분석 및 사각지대 해소방안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5.
    <모성보호 사각지대 해소 및 고용효과 강화를 위한 모성보호제도 재설계방안>. 고용노동부. 2013.
    <지역 일자리사업 현황 및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2.
    <직접일자리 창출사업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2.
    <사회적기업 실태 조사 분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2.
    <경기도 사회적기업 육성 전략수립 연구>. 경기도. 2012.
    <2010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가 보고서: 일자리창출 교육 및 훈련사업군(재직자 훈련사업 부문 평가)>.
       KDI공공투자관리센터·한국노동연구원. 2011.
    <메가이벤트 개최의 고용 효과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1.
    <중소기업 빈 일자리 지원사업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1.
    <고용보험사업 및 재정운용방안 연구>. 노동부. 2005.
    <일자리창출효과 평가지표 연구>. 노동부. 2005.
    <장애인고용장려금·부담금 추계를 통한 기금의 적정 운영방안>. 노동부. 2003.
    “고용안정사업.” 이원덕 편. <한국의 노동>. 한국노동연구원. 2003.
    <권역별 공공직업훈련체제 구축 방향>. 노동부. 2003.
    <고용보험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 수준 실태 파악 및 홍보 효과 연구>. 노동부. 2003.
    <공공직업훈련간 연계 강화를 통한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노동부. 2002.
    <전직지원장려금 제도의 개선 방향>. 노동부. 2002.

    ◎ 중고령자 노동시장
    <신중년 적합직무 사업의 고용장려금 지원 개선방안>, 한국고용정보원, 2020.
    <중고령 저임금근로자의 근로실태와 정책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4.
    <2014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중고령 저임금근로 현황과 특성." <노동리뷰> 2014년 3월호. 2014.
    <미래 고령사회 대응 베이비붐 세대 및 전후 세대 실태분석>.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중고령자의 빈곤 실태와 사회안전망>. 한국노동연구원. 2013.
    <100세 행복연금 프로젝트>.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베이비 붐 세대 실태조사 및 정책 현황 분석>.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생애 주요 일자리 특성." <노동리뷰> 2008년 9월호. 한국노동연구원.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울산지역 산업내 고령화 현황 및 대응방안 연구>. 울산발전연구원 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2007.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2007년 3월호. 한국노동연구원.
    “프랑스, 영국 및 핀란드 고령자 고용정책의 함의 고찰.” <국제지역연구> 제10권 3호. 2006.
    <고령화사회 대비 고용·임금체계 개선방안>. 대통령자문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2005.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대응전략 연구(Ⅱ)>. 한국노동연구원. 2005.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 한국노동연구원. 2004.
    “EU 고령자고용정책 국제비교.” <국제노동브리프> 9․10월호. 한국노동연구원. 2004.
    <고령 사회 대비 고령자 고용정책에 관한 국제비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2004.
    <고령자 기준고용율 업종별 차등화 방안 및 효과 분석>. 노동부. 2002.

    ◎ 고용서비스
    <취약계층에 대한 민간직업소개 실태조사 및 직업소개 수수료 등 개편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15.
    <수요자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방안>. 고용노동부. 2014.
    <대졸자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민간고용서비스 활성화 방안>. 고용노동부. 2013.
    <서울지역 봉제·의류산업 일자리창출을 위한 고용서비스 개선방안>. 서울지방노동청. 2012.
    <민간고용서비스 기관의 규모·특성 등 운영실태 조사 및 향후 제도 개선방안 연구>. 노동부. 2008.
    <민간고용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
    <고용지원서비스 선진화 시범센터 평가>. 노동부. 2005.
    <고용서비스 선진화 방안>. 노동부. 2004.
    <고용서비스 고객만족도 실태조사>. 노동부. 2004.
    <시범고용안정센터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4.
    <공공·민간 직업안정기관 운영실태 및 개선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4.
    <실업급여 수급자 취업담임제 운영성과 분석·평가 및 효율화 방안>. 노동부. 2003.
    “공공직업안정기관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고용보험동향> 제8권. 한국노동연구원. 2003.
    <민간인력서비스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3.

    ◎ 고령화연구패널조사
    "고령화연구패널(KLoSA) 2007년 직업력조사 실사과정 보고." <노동리뷰> 2008년 3월호. 한국노동연구원.
    "고령화연구패널 제1차 기본조사 실사과정 및 결과 보고." <노동리뷰> 2007년 6월호. 한국노동연구원.
    "컴퓨터를 이용한 대인면접이 조사자료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Blaise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제7권 제2호. 2006.
    "고령화연구패널 제1차 기본조사 소개." <노동리뷰> 2006년 9월호. 한국노동연구원.
    "고령화연구패널 예비조사의 시행과 주요 결과." <노동리뷰> 2006년 8월호. 한국노동연구원.
    "고령자패널조사 설문내용." <노동리뷰> 2005년 6월호. 한국노동연구원.
    "고령자패널조사 소개." <노동리뷰> 2005년 4월호. 한국노동연구원.

    ◎ 직업·산업
    <2016 학교문화예술교육 제도개선을 위한 예술강사 활동 현황 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콘텐츠 가치평가 인력양성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산업재해 실태와 보호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3.
    <프리랜서의 노동과 위험>. 한국노동연구원. 2013.
    "상품판매원⋅전화상담원의 감정노동 실태." <노동리뷰> 2013년 9월호. 2013.
    <출연(연) 기술인력 운영 개선방안 연구>. 기초기술연구회. 2013.
    "방송영상제작분야 인력의 근로실태와 프리랜서의 사용자 종속성." <노동리뷰> 2012년 7월호. 2012.
    <서비스산업의 감정노동 연구: 판매원과 전화상담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2.
    <문화예술인 산재보험 적용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첨단융합산업 인력수요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