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노동시장 평가와 2025년 노동시장 전망
- Date2024.12.30
- Hit523
지난해 1∼10월 평균 33.6만 명이었던 취업자 증가폭은 2024년 같은 기간 18.4만 명으로 줄었다. 고용률 증가폭이 둔화됐고 실업률은 소폭 증가했으며, 비경제활동인구 감소폭은 줄어들고있다. 2023년까지 고용지표에서 보였던 긍정적인 변화들이 2024년 들어 전반적으로 약해지는모습이다.
2024년 고용은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남성 고용률은 감소한반면, 여성 고용률은 증가했다.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여성 고용 상황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더 좋았다. 남성 취업자가 다수인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이 부진한 반면, 여성 고용 비중이큰 일부 서비스업 고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다만, 여성 고용률 증가폭은 2023년에비해 다소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청년층의 고용 부진과 고령층의 고용 증가세가 뚜렷하게 대비된다. 청년층은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고용이 줄어들고 있다. 반면,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는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생산과 수출이 모두 증가했으나 고용은 부진했다. 건설업은 건설 경기 둔화 영향으로 분기별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됐다. 서비스업 고용 상황은 산업별로 상이하다.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가 이어졌고, 사업시설지원서비스업 고용도 부진했다. 이에 비해 정보통신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은 양호한 고용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미취업자 변화를 살펴보면, 실업자는 구직기간이 3개월 이상인 중장기실업자 위주로 늘었다.비경제활동인구는 실직한 지 1년 이내인 인구가 주로 증가했다. 20, 30대 ‘쉬었음’ 인구가 증가했고 대부분 구직의사가 있었다.
아래에서는 부문별 노동시장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취업자 동향을 연령대, 종사상지위, 산업별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본 후 미취업자 동향을 통해 경제활동 참여 현황을 점검한다.결론에서는 2024년 노동시장 평가를 바탕으로 2025년 고용 전망을 제시한다.
- 2024년 노동시장 평가와 2025년 노동시장 전망(동향분석실).pdf (Download 405회) Download